본문 바로가기
2009.03.23 09:28

웃긴, 웃기는

조회 수 824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웃긴, 웃기는

인터넷에서 영화를 소개하는 다음과 같은 글을 봤다. '시실리라는 마을에서 벌어지는 무섭고 웃긴 이야기'. 이처럼 요즘 '웃기는'을 써야 할 자리에 '웃긴'을 쓰는 사람이 많아졌다. '웃기는'과 '웃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웃기다'는 '웃게 만들다'라는 뜻의 동사다. '웃기는'과 '웃긴'은 둘 다 '웃기다'에서 활용한 것이지만 시제가 서로 다르다. 다음 예를 보자.

'아이에게 해열제를 먹인 후 일찍 재웠다.'
'어린애에게 약을 먹이는 일은 쉽지 않다.'

앞 문장의 '먹인'은 뒤에 오는 '후'라는 명사를 꾸미고, 뒤 문장의 '먹이는'은 '일'이라는 명사를 꾸민다. 이렇게 동사가 뒤의 명사 등을 꾸미는 관형형으로 될 때 어떤 어미가 오느냐에 따라 시제가 달라진다.

'는'이 오면 '밥을 먹는 사람' '빨리 가는 세월'에서 보듯 현재 시제를 표시한다. '은'이나 'ㄴ'을 쓰면 '밥을 먹은 사람' '빨리 간 세월'처럼 과거가 된다. 그러므로 과거 시제를 써 '웃긴 이야기'라고 하면 '과거에 누구를 웃게 만든 이야기'라는 의미가 된다. 현재 시제를 쓴 '웃기는 이야기'는 '내용이 우습거나 엉뚱해서 사람을 웃게 만드는 이야기'라는 뜻이다.

이제 처음으로 돌아가 보자. 예문이 말하려는 것은 영화의 성격과 내용이 '무섭고 우습다'라는 것이지 '과거에 누구를 웃게 한 영화'라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 '웃긴'을 쓰면 어색하다. '웃기는 이야기' 또는 '우스운 이야기'라고 해야 의도한 대로 뜻이 전달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8
2248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89
2247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61
2246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359
2245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5019
2244 애시당초 바람의종 2010.03.03 7662
2243 애벌빨래 風磬 2007.01.19 10863
2242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468
2241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2015
2240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26
2239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58
223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03
2237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756
2236 애끓다, 애끊다 바람의종 2010.05.09 11144
2235 애끊다와 애끓다 바람의종 2010.03.15 13156
2234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195
2233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42
223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50
2231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805
2230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07
2229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7
2228 앙갚음, 안갚음 바람의종 2011.11.27 13889
2227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9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