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7

추파와 외도

조회 수 788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파와 외도

입추와 말복을 지나며 유별났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선선한 밤공기에선 약하나마 가을이 느껴진다. 가을(수확을 뜻하는 순 우리말)은 풍요의 계절이지만, 가을을 뜻하는 영어 '폴(fall·잎이 시들어 떨어짐)'에서 보듯 쓸쓸함이 스며드는 계절이기도 하다. 가을날 낙엽이 지는 호수에 일렁이는 잔잔한 물결을 바라보면 어딘지 외로움이 느껴진다. 그 잔물결이 추파(秋波)다. 그리고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은근히 보내는 눈길을 '추파'라고 한다. 지극히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현상이다. 미인의 맑고 아름다운 눈길을 '추파'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남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는 태도에까지 '추파'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표를 얻기 위해 ○○지역에 끊임없이 추파를 보내고 있다'에서처럼 좋지 않은 투로 쓰고 있다.

이러한 의미 변화는 바르지 않은 길을 뜻하는 '외도(外道)'에서도 일어난다. '외도'는 아내나 남편이 아닌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쓰이는 단어로, 당연히 좋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요즘은 본업을 떠나 다른 일을 하는 것에까지 '외도'라는 말을 쓴다. '탤런트 ○○○ 영화 외도' '정치 외도 ○○○ 탤런트 복귀' 등 나쁠 게 없는 일에 '외도'를 사용한다. 근래 나온 사전은 현실을 반영, '추파' '외도'에 이 같은 의미를 추가했다.

언어도 생명체와 같아 생겨나고, 변화하고, 없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단어처럼 반대에 가까운 뜻까지 껴안음으로써 의미에 혼란을 주는 것은 곤란하다. '추파'와 '외도'를 본래 뜻대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1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607
1478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29
1477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65
1476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24
1475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4
1474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03
147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7
147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59
1471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1470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58
1469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818
1468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1467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5
1466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10
146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97
1464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60
1463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62
1462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06
1461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341
1460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51
1459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840
1458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6
145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