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7

추파와 외도

조회 수 788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파와 외도

입추와 말복을 지나며 유별났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선선한 밤공기에선 약하나마 가을이 느껴진다. 가을(수확을 뜻하는 순 우리말)은 풍요의 계절이지만, 가을을 뜻하는 영어 '폴(fall·잎이 시들어 떨어짐)'에서 보듯 쓸쓸함이 스며드는 계절이기도 하다. 가을날 낙엽이 지는 호수에 일렁이는 잔잔한 물결을 바라보면 어딘지 외로움이 느껴진다. 그 잔물결이 추파(秋波)다. 그리고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은근히 보내는 눈길을 '추파'라고 한다. 지극히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현상이다. 미인의 맑고 아름다운 눈길을 '추파'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남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는 태도에까지 '추파'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표를 얻기 위해 ○○지역에 끊임없이 추파를 보내고 있다'에서처럼 좋지 않은 투로 쓰고 있다.

이러한 의미 변화는 바르지 않은 길을 뜻하는 '외도(外道)'에서도 일어난다. '외도'는 아내나 남편이 아닌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쓰이는 단어로, 당연히 좋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요즘은 본업을 떠나 다른 일을 하는 것에까지 '외도'라는 말을 쓴다. '탤런트 ○○○ 영화 외도' '정치 외도 ○○○ 탤런트 복귀' 등 나쁠 게 없는 일에 '외도'를 사용한다. 근래 나온 사전은 현실을 반영, '추파' '외도'에 이 같은 의미를 추가했다.

언어도 생명체와 같아 생겨나고, 변화하고, 없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단어처럼 반대에 가까운 뜻까지 껴안음으로써 의미에 혼란을 주는 것은 곤란하다. '추파'와 '외도'를 본래 뜻대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35
147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9
1477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301
1476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1475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06
1474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1
147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16
1472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0
1471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22
1470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24
1469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25
1468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26
1467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30
1466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32
1465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34
1464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39
146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44
1462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6
1461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48
1460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50
1459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351
1458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52
1457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