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7

추파와 외도

조회 수 790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파와 외도

입추와 말복을 지나며 유별났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선선한 밤공기에선 약하나마 가을이 느껴진다. 가을(수확을 뜻하는 순 우리말)은 풍요의 계절이지만, 가을을 뜻하는 영어 '폴(fall·잎이 시들어 떨어짐)'에서 보듯 쓸쓸함이 스며드는 계절이기도 하다. 가을날 낙엽이 지는 호수에 일렁이는 잔잔한 물결을 바라보면 어딘지 외로움이 느껴진다. 그 잔물결이 추파(秋波)다. 그리고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은근히 보내는 눈길을 '추파'라고 한다. 지극히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현상이다. 미인의 맑고 아름다운 눈길을 '추파'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남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는 태도에까지 '추파'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표를 얻기 위해 ○○지역에 끊임없이 추파를 보내고 있다'에서처럼 좋지 않은 투로 쓰고 있다.

이러한 의미 변화는 바르지 않은 길을 뜻하는 '외도(外道)'에서도 일어난다. '외도'는 아내나 남편이 아닌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쓰이는 단어로, 당연히 좋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요즘은 본업을 떠나 다른 일을 하는 것에까지 '외도'라는 말을 쓴다. '탤런트 ○○○ 영화 외도' '정치 외도 ○○○ 탤런트 복귀' 등 나쁠 게 없는 일에 '외도'를 사용한다. 근래 나온 사전은 현실을 반영, '추파' '외도'에 이 같은 의미를 추가했다.

언어도 생명체와 같아 생겨나고, 변화하고, 없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단어처럼 반대에 가까운 뜻까지 껴안음으로써 의미에 혼란을 주는 것은 곤란하다. '추파'와 '외도'를 본래 뜻대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44
3084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897
3083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903
3082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924
3081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930
3080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930
3079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938
3078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942
3077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946
3076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950
3075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957
3074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961
3073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965
3072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966
307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978
3070 문어발 / 징크스 風文 2020.07.02 1991
3069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991
3068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996
3067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2006
3066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2011
3065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2012
3064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2016
3063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2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