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6

아니예요

조회 수 674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니예요

'아니예요'와 '아니에요' 중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아니예요'로 잘못 쓰기 쉬운데, 이는 '저예요' '할 거예요' 등과 같이 '-예요'꼴이 어색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예요'는 '이에요'가 줄어든 말이며, '이'는 명사를 서술어로 만들 때 쓰이는 조사다. 명사의 경우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받침이 없으면 '예요'와 결합한다. '이예요'는 없는 형태다. '책+이에요→책이에요, 꽃이에요, 셋이에요, 선물이에요, 집사람이에요' 등과 같이 받침이 있는 명사에는 '이에요'가 붙는다. '저+예요→저예요, 나무예요, 하나예요, 거예요' 등과 같이 받침이 없는 명사에는 '예요'가 붙는다. 받침이 없을 때는 '이에요'보다 '예요' 발음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사가 아닌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과 직접 결합할 때는 서술격 조사 '이'가 필요 없으므로 '에요'만 붙는다. '아니다'의 경우 어간이 '아니'이므로 '아니+에요→아니에요'가 된다. '이어요'와 준말인 '여요'도 마찬가지다. '책이어요, 나무여요, 아니어요'가 된다. 그리고 '아니에요, 아니어요'는 줄여서 '아녜요, 아녀요'로도 쓸 수 있다.

명사일 때는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없으면 '예요'가 자연스럽게 발음되기 때문에 헷갈릴 염려가 많지 않다. 동사와 형용사의 경우 어간에 '에요'가 붙는다는 사실에 주의하면 된다. '아니예요'가 아니라 '아니에요'라는 것만 기억하면 크게 문제될 게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45
2138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57
2137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1
2136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63
2135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766
2134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66
2133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767
2132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0
2131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74
2130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80
2129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781
2128 엑기스 바람의종 2008.02.17 7784
2127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89
2126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89
2125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08.11.18 7789
2124 입소문 바람의종 2010.03.04 7789
2123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792
2122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121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794
2120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794
211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799
2118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799
2117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