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6

아니예요

조회 수 675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니예요

'아니예요'와 '아니에요' 중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아니예요'로 잘못 쓰기 쉬운데, 이는 '저예요' '할 거예요' 등과 같이 '-예요'꼴이 어색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예요'는 '이에요'가 줄어든 말이며, '이'는 명사를 서술어로 만들 때 쓰이는 조사다. 명사의 경우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받침이 없으면 '예요'와 결합한다. '이예요'는 없는 형태다. '책+이에요→책이에요, 꽃이에요, 셋이에요, 선물이에요, 집사람이에요' 등과 같이 받침이 있는 명사에는 '이에요'가 붙는다. '저+예요→저예요, 나무예요, 하나예요, 거예요' 등과 같이 받침이 없는 명사에는 '예요'가 붙는다. 받침이 없을 때는 '이에요'보다 '예요' 발음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사가 아닌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과 직접 결합할 때는 서술격 조사 '이'가 필요 없으므로 '에요'만 붙는다. '아니다'의 경우 어간이 '아니'이므로 '아니+에요→아니에요'가 된다. '이어요'와 준말인 '여요'도 마찬가지다. '책이어요, 나무여요, 아니어요'가 된다. 그리고 '아니에요, 아니어요'는 줄여서 '아녜요, 아녀요'로도 쓸 수 있다.

명사일 때는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없으면 '예요'가 자연스럽게 발음되기 때문에 헷갈릴 염려가 많지 않다. 동사와 형용사의 경우 어간에 '에요'가 붙는다는 사실에 주의하면 된다. '아니예요'가 아니라 '아니에요'라는 것만 기억하면 크게 문제될 게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36
2248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59
2247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31
2246 복합어와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9 12464
2245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583
2244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41
2243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84
2242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9
2241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58
2240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55
2239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833
2238 넌지시, 넌즈시 바람의종 2009.03.25 10927
2237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57
2236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84
223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90
2234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306
2233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9
2232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849
2231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43
2230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05
2229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84
»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55
222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