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8 04:24

가열차다, 야멸차다

조회 수 1145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열차다, 야멸차다

글에도 맛이 있다. 사람마다 말투가 다르듯 글투도 다양하다. 남성적인 글이 있는가 하면 부드럽고 섬세한 느낌을 주는 글도 있다. 그러한 맛을 내기 위해 작가들은 하나의 낱말 선택에 온갖 정성을 기울인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말을 만들기도 하고 잊힌 우리말을 살려 쓰기도 한다. 사투리가 사회성을 인정받아 표준어가 된 예도 있다. 최근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말도 이러한 규범성을 획득해 사전에 오를 날이 올지 모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글을 쓸 때는 바른 표기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입엔 익었지만 표준어가 아닌 것도 많다. 대표적인 경우가 '가열차다'다. "서울의 골목을 누비면서 가열찬 투쟁을 했다"란 문장에서 '가열찬'을 '가열한'으로 바꾸면 오히려 생소한 느낌이 들거나 '가혹하고 격렬하다(苛烈)'란 단어의 맛이 떨어진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는 '가열차다'란 표현을 보람차다ㆍ희망차다와 같은 구조로 생각해 자연스럽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열하다'가 표준어다.

비슷한 예로 '태도가 차고 야무지다'란 뜻의'야멸차다'가 있다. "여론은 그들을 야멸차게 비난했다"처럼 쓰인다. 사람의 성격ㆍ태도를 나타내는 말 중에 매몰차다·대차다 등 '-차다'란 형태가 많다. 이와 연관지어 '야멸차다'가 맞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야멸치다'로 써야 한다. 편하고, 재미있다고 손 가는 대로 글을 쓰는 사람이 넘쳐난다.

맞춤법은 무시되기 일쑤고 국적 불명의 외계어가 난무한다. 바루어 쓰는 게 표현을 가두는 일은 아니다. 오히려 바루지 않은 문장에선 진정한 글맛을 기대하기 어렵다.

# 가열차다→가열하다 # 야멸차다→야멸치다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232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897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3724
    read more
  4. 나래, 내음, 뚝방길

    Date2009.03.16 By바람의종 Views8129
    Read More
  5. 넉넉지/넉넉치

    Date2009.03.17 By바람의종 Views14650
    Read More
  6. 떠벌리다/떠벌이다

    Date2009.03.17 By바람의종 Views10694
    Read More
  7. 상서롭다/상스럽다

    Date2009.03.17 By바람의종 Views28044
    Read More
  8. 가열차다, 야멸차다

    Date2009.03.18 By바람의종 Views11453
    Read More
  9. 아니예요

    Date2009.03.18 By바람의종 Views6769
    Read More
  10. 추파와 외도

    Date2009.03.18 By바람의종 Views7890
    Read More
  11. ~까지, ~조차, ~마저

    Date2009.03.23 By바람의종 Views11639
    Read More
  12. 웃긴, 웃기는

    Date2009.03.23 By바람의종 Views8248
    Read More
  13. 주접떨다, 주접든다

    Date2009.03.23 By바람의종 Views18881
    Read More
  14. 과반수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8336
    Read More
  15.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22341
    Read More
  16. 번지르한, 푸르른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7705
    Read More
  17. "못"의 띄어쓰기

    Date2009.03.25 By바람의종 Views16802
    Read More
  18.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Date2009.03.25 By바람의종 Views16682
    Read More
  19. 넌지시, 넌즈시

    Date2009.03.25 By바람의종 Views10932
    Read More
  20. ~에 대해, ~에 관해

    Date2009.03.26 By바람의종 Views10874
    Read More
  21. 한번, 한 번

    Date2009.03.26 By바람의종 Views7816
    Read More
  22. 치고박고

    Date2009.03.26 By바람의종 Views8184
    Read More
  23. 따 놓은 당상

    Date2009.03.27 By바람의종 Views7996
    Read More
  24. 트레킹, 트래킹

    Date2009.03.27 By바람의종 Views8821
    Read More
  25. '이/가' '을/를'

    Date2009.03.27 By바람의종 Views569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