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25

상서롭다/상스럽다

조회 수 2800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상서롭다/상스럽다


중국 사람들은 용(龍)·기린(麒麟)·봉황(鳳凰)·거북[龜]을 '사령(四靈)'이라 하여 신성하게 생각해 왔다. 각기 천자(天子)·태평성대(太平聖代)·길상(吉祥)·장수(長壽)를 상징한다고 여겼다. 봉황이 상징하는 '길상'은 '운수가 좋을 조짐'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상서(祥瑞)롭다'(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는 뜻이다. '상서롭다'는 '상서로운' '상서로워' '상서로우니' 등으로 활용된다. '봉황은 상서로운 새 가운데서도 가장 상서로운 것으로 꼽혀 새 중의 왕으로 불린다'처럼 쓰인다.

그런데 '상서로운'은 '상(常)스럽다'(말이나 행동이 보기에 천하고 교양이 없다)의 활용형 '상스러운'과 발음이 비슷해 잘못 적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상스럽다'와 '상서롭다'는 엄청난 의미 차이가 있기 때문에 뒤바꿔 쓰면 전하고자 하는 뜻이 아주 우습게 돼버린다. '근년에 해내(海內)에 자주 풍년이 들어 상스러운 조짐과 온화한 기운이 길한 데 맞으니….' '공장 마당에 산삼이 자연적으로 자라고 있다는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고 상스러운 징조다.' 이들 문장의 '상스러운'은 '상서로운'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상스러운'은 '그 사람은 입으로는 저속하고 상스러운 말을 지껄이고 몸으로는 경망한 행동을 거듭하였다'처럼 쓰면 된다. 길한 징조에는 '상서로운'을 쓰고, 말이나 행동에 품위가 없어 천하고 교양이 없어 보이는 경우에는 '상스러운'을 쓴다는 점을 머릿속에 담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485
121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1213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28
1212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9
»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04
1210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09
1209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54
1208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81
1207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05
1206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42
1205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848
1204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9
1203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303
1202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89
1201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73
1200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57
1199 넌지시, 넌즈시 바람의종 2009.03.25 10927
1198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833
1197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55
1196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58
1195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5
1194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82
1193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