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21

넉넉지/넉넉치

조회 수 1457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넉넉지/넉넉치

'넉넉지/넉넉치''익숙지/익숙치' 등과 같이 '-하지'가 줄어들 때 어느 것으로 적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는다. 발음만으론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 앞이 무성음(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이냐, 유성음(목청이 떨려 울리는 소리)이냐에 따라 '-지'와 '-치'로 달라진다. '-하지' 앞이 무성음(ㄱ, ㅂ, ㅅ)일 때는 '하' 전체가 떨어지고 '지'만 남는다. '넉넉지, 익숙지, 거북지, 답답지, 섭섭지, 깨끗지, 떳떳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 앞이 유성음(모음이나 ㄴ, ㄹ, ㅁ, ㅇ)일 때는 'ㅏ'만 떨어져 'ㅎ+지=치'가 된다. '흔치, 만만치, 간단치, 적절치, 온당치, 가당치' 등이 그런 예다.

이러한 현상은 '-하다''-하게''-하도록''-하건대'가 줄어들 때도 마찬가지다.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흔하다→흔타''다정하다→다정타''간편하게→간편케''이바지하도록→이바지토록' 등으로 나타난다.

순 우리말에서는 대부분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만, '한자어+하다'로 이루어진 단어에선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가결하지'나 '결혼하지'를 '가결치' '결혼치'로 줄여 쓰는 사람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유성음 뒤에서는 자연스럽게 거센소리가 나므로 크게 헷갈리지 않는다. 무성음인 'ㄱ' 'ㅂ' 'ㅅ' 뒤에선 거센소리가 아닌 '지' '게' '다' 등으로 적는다고 기억하면 쉽다. 그래도 어렵거나 헷갈리면 줄이지 말고 아예 '넉넉하지' '익숙하지' 등으로 적으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58
1984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17
1983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5
1982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15
19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09
1980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08
1979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06
197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4
1977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99
1976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92
1975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89
1974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288
1973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83
1972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2
197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2
1970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9
1969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76
1968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271
1967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69
1966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267
1965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66
1964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63
1963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