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7 03:21

넉넉지/넉넉치

조회 수 1463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넉넉지/넉넉치

'넉넉지/넉넉치''익숙지/익숙치' 등과 같이 '-하지'가 줄어들 때 어느 것으로 적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는다. 발음만으론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 앞이 무성음(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이냐, 유성음(목청이 떨려 울리는 소리)이냐에 따라 '-지'와 '-치'로 달라진다. '-하지' 앞이 무성음(ㄱ, ㅂ, ㅅ)일 때는 '하' 전체가 떨어지고 '지'만 남는다. '넉넉지, 익숙지, 거북지, 답답지, 섭섭지, 깨끗지, 떳떳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 앞이 유성음(모음이나 ㄴ, ㄹ, ㅁ, ㅇ)일 때는 'ㅏ'만 떨어져 'ㅎ+지=치'가 된다. '흔치, 만만치, 간단치, 적절치, 온당치, 가당치' 등이 그런 예다.

이러한 현상은 '-하다''-하게''-하도록''-하건대'가 줄어들 때도 마찬가지다.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흔하다→흔타''다정하다→다정타''간편하게→간편케''이바지하도록→이바지토록' 등으로 나타난다.

순 우리말에서는 대부분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만, '한자어+하다'로 이루어진 단어에선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가결하지'나 '결혼하지'를 '가결치' '결혼치'로 줄여 쓰는 사람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유성음 뒤에서는 자연스럽게 거센소리가 나므로 크게 헷갈리지 않는다. 무성음인 'ㄱ' 'ㅂ' 'ㅅ' 뒤에선 거센소리가 아닌 '지' '게' '다' 등으로 적는다고 기억하면 쉽다. 그래도 어렵거나 헷갈리면 줄이지 말고 아예 '넉넉하지' '익숙하지' 등으로 적으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30
2248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59
2247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31
2246 복합어와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9 12466
2245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597
2244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46
2243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800
2242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9
2241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59
2240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56
2239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849
2238 넌지시, 넌즈시 바람의종 2009.03.25 10932
2237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57
2236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710
223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90
2234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308
2233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9
2232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854
2231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43
2230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10
2229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85
2228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55
222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