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4 03:01

납량

조회 수 6875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납량

'푹푹 찐다'는 표현이 실감날 정도로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도회지와 시골, 산·바다 등을 오가며 여름 사냥에 한창입니다. 번잡한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은 산세가 좋고 물 맑은 곳을 찾아 고요한 밤의 정취를 즐기는가 하면, 산촌·농촌을 벗어난 동심들은 복잡하지만 화려한 도시의 모습에 시간 가는 줄 모릅니다. 극장가에 공포영화가 걸렸습니다. TV에서도 괴기물이 전보다 많이 눈에 띕니다. 모두가 더위를 이기는 방법으로 등장한 것입니다.

더위를 쫓는다는 표현으로 '납량'이 있습니다. 납량 시리즈·납량 특집·납량 게임 등에서 볼 수 있는 '납량'을 간혹 '납양'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를 봅니다. '납량'과 '납양'의 소리내기는 더욱 아리송합니다. '납량(納凉)'의 한자어 풀이는 '불러들일 납(納), 서늘할 량(凉)'으로 서늘한 기운을 불러들여 더위를 물리친다는 뜻입니다. 이와 달리 '납양(納陽)'은 '따뜻하게 햇볕을 듬뿍 쬔다'는 뜻으로 추운 겨울에 적용할 수 있는 말입니다. '납량'과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발음 또한 '납량'은 '국민→궁민, 신라→실라, 섭리→섬니, 달나라→달라라, 십리→심니'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남냥'으로 해야 합니다. 이는 '앞 음절의 끝 자음이 뒤에 오는 첫소리와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자음동화)'에 따른 것입니다. '납양'은 앞 음절의 'ㅂ'소리를 뒷소리에 이어 붙여 '나'으로 발음하면 정확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85
123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86
1235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85
1234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15
1233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33
1232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197
1231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68
1230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31
1229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66
1228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91
1227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73
1226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858
1225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1
1224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14
1223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64
1222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29
1221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76
1220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83
1219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80
1218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63
»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75
121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836
1215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