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8 03:52

성과 이름

조회 수 754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성과 이름

배드민턴 선수 라경민, 탤런트 류시원, 리영희 교수…. 그들은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가? 왜냐하면 법률상 한국인의 성(姓)에는 '라, 류, 리'씨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엄연한 대한민국 국민이다. 때때로 '라, 류, 리'씨 성을 유지한 채 언론에도 등장한다. 사람의 성과 이름은 각각 자립적인 단어다.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말의 어법에는 두음법칙이란 게 있다. 두음법칙이란 '일부의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일'을 말한다. 예를 들면 'ㅣ, ㅑ, ㅕ, ㅛ, ㅠ' 앞에서의 'ㄹ, ㄴ'이 'ㅇ'이 되고, 'ㅏ, ㅓ, ㅗ, ㅜ, ㅡ, ㅐ, ㅔ, ㅚ' 앞의 'ㄹ'은 'ㄴ'으로 변하는 것 따위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의 성 중 '라(羅), 류(柳), 리(李)'씨 등은 두음법칙에 의해 '나, 유, 이'씨 등으로 써야 한다.

이름도 마찬가지다. 리륜식(李倫植)은 이윤식으로 써야 옳다. 이름이 외자일 경우에도 두음법칙이 적용된다. 원칙대로 하자면 방렬(方烈)은 방열로 써야 한다. '신립, 채륜, 하륜' 등도 '신입, 채윤, 하윤'으로 적어야 한다.그러나 맞춤법에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이 있어 이 때엔 둘 다 인정된다. 요즘 '성은 두음법칙 적용에서 예외로 했으면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거세다. 언론에서도 그 요구에 못 이겨 일정 부분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해결책을 모색해 볼 시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22
1236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94
1235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895
1234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901
1233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01
1232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1231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904
1230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905
122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906
1228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10
1227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0
1226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0
1225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22
1224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1223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924
1222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1221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928
1220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31
1219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31
121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34
1217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37
1216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938
1215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9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