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4 01:56

삼복더위

조회 수 817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복더위

'삼복더위'가 한창이다. 삼복더위란 삼복(초복·중복·말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를 말한다. 삼복은 음력 6~7월에 들어 있으며, 올해는 양력으로 7월 20일, 30일, 8월 9일(열흘 간격)이 복날이다.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 풍습이 전해져 복날이 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복날과 개는 직접 관련이 없다. 한자 '복(伏)'은 '사람인(人)+ 개견(犬)' 구조로 사람 옆에서 개가 엎드린 모양새이며, '엎드릴 복' '굴복할 복'으로 읽힌다.

절기로서의 복날도 '더위를 굴복시키는 날'이란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에 따르면 '복(伏)'은 서기제복(暑氣制伏), 즉 여름의 더운 기운을 제압 또는 굴복시킨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이 개장국으로, 복날에 개장국을 먹는 풍속은 여러 세시기(歲時記)에도 나온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그 옛날 주변에서 보양식으로 쓸 만한 것을 구하기에는 개고기가 손쉬웠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측되지만, 지금도 개고기가 몸에 좋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

사람이나 지방·종교에 따라서는 개고기 먹는 것을 혐오하거나 금기시해 개장국 대신 삼계탕을 즐기며 더위를 쫓기도 했다. 요즘은 삼계탕을 먹는 것이 일반화돼 복날이면 삼계탕집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을 흔히 볼 수 있다. 삼복더위를 줄여 복더위라고 하며, 복달더위·삼복염천·삼복증염 등으로도 부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35
1962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06
1961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1960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301
1959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299
19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9
1957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96
1956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96
1955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91
1954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1
1953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90
1952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1
1951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0
1950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79
1949 바람의종 2012.07.27 9279
1948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77
1947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71
1946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70
194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66
1944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5
1943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60
1942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9
1941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