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4 01:56

삼복더위

조회 수 818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복더위

'삼복더위'가 한창이다. 삼복더위란 삼복(초복·중복·말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를 말한다. 삼복은 음력 6~7월에 들어 있으며, 올해는 양력으로 7월 20일, 30일, 8월 9일(열흘 간격)이 복날이다.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 풍습이 전해져 복날이 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복날과 개는 직접 관련이 없다. 한자 '복(伏)'은 '사람인(人)+ 개견(犬)' 구조로 사람 옆에서 개가 엎드린 모양새이며, '엎드릴 복' '굴복할 복'으로 읽힌다.

절기로서의 복날도 '더위를 굴복시키는 날'이란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최남선의 '조선상식(朝鮮常識)'에 따르면 '복(伏)'은 서기제복(暑氣制伏), 즉 여름의 더운 기운을 제압 또는 굴복시킨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이 개장국으로, 복날에 개장국을 먹는 풍속은 여러 세시기(歲時記)에도 나온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그 옛날 주변에서 보양식으로 쓸 만한 것을 구하기에는 개고기가 손쉬웠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측되지만, 지금도 개고기가 몸에 좋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

사람이나 지방·종교에 따라서는 개고기 먹는 것을 혐오하거나 금기시해 개장국 대신 삼계탕을 즐기며 더위를 쫓기도 했다. 요즘은 삼계탕을 먹는 것이 일반화돼 복날이면 삼계탕집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을 흔히 볼 수 있다. 삼복더위를 줄여 복더위라고 하며, 복달더위·삼복염천·삼복증염 등으로도 부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46
123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97
1235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95
1234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20
1233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109
1232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2
1231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83
1230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54
1229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85
1228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7000
1227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83
1226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894
1225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4
1224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0
»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80
1222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48
1221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1
1220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97
1219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93
1218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92
1217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86
121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890
1215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