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4

호칭과 예절

조회 수 883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칭과 예절

우리 사회에서는 위계질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다 보니 사람을 직접 부르는 말(호칭)이나 가리키는 말(지칭)이 다양하게 발전했다. 부모에 대한 칭호만 해도 수십 가지에 이를 정도다. 성균관 전례연구원에 따르면 그중 기본이 되는 '아버지'와 '아버님'도 상황에 따라 구분해 쓰도록 되어 있다.

'아버지'는 자기 아버지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쓴다. 예를 들어 '아버지 진지 잡수셨습니까?' '저희 아버지는 공직에서 은퇴하셨습니다'와 같은 경우다. 반면 '아버님'은 남편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남편의 아버지를 말할 때, 또는 자기의 아버지에게 편지를 쓸 때 쓰는 칭호다. 예를 들면 며느리가 외출하면서 '아버님, 다녀오겠습니다'라고 하거나 친구에게 '우리 아버님은 남편과 꼭 닮았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 편지 글에서는 자기 아버지에게 '아버님전 상서'처럼 써도 좋다.

'어머니''어머님'도 똑 같은 기준으로 구별해 쓰면 된다. 이런 칭호들을 주의하지 않고 대충 사용하다 보면 무례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부인'과 '아내'를 잘못 쓰는 것이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지칭할 때 주로 쓰는 말이다. 따라서 자기 아내를 '부인'이라고 부르면 실례가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이 '집에 혼자 있는 부인이 걱정돼 매시간 확인을 합니다'라고 말한다면 예절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부인' 대신 '아내'나 '집사람'이라고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7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18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91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6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72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08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0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05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42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3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00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3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41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52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56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33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12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85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16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07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597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84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