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4

호칭과 예절

조회 수 882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칭과 예절

우리 사회에서는 위계질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다 보니 사람을 직접 부르는 말(호칭)이나 가리키는 말(지칭)이 다양하게 발전했다. 부모에 대한 칭호만 해도 수십 가지에 이를 정도다. 성균관 전례연구원에 따르면 그중 기본이 되는 '아버지'와 '아버님'도 상황에 따라 구분해 쓰도록 되어 있다.

'아버지'는 자기 아버지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쓴다. 예를 들어 '아버지 진지 잡수셨습니까?' '저희 아버지는 공직에서 은퇴하셨습니다'와 같은 경우다. 반면 '아버님'은 남편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남편의 아버지를 말할 때, 또는 자기의 아버지에게 편지를 쓸 때 쓰는 칭호다. 예를 들면 며느리가 외출하면서 '아버님, 다녀오겠습니다'라고 하거나 친구에게 '우리 아버님은 남편과 꼭 닮았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 편지 글에서는 자기 아버지에게 '아버님전 상서'처럼 써도 좋다.

'어머니''어머님'도 똑 같은 기준으로 구별해 쓰면 된다. 이런 칭호들을 주의하지 않고 대충 사용하다 보면 무례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부인'과 '아내'를 잘못 쓰는 것이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지칭할 때 주로 쓰는 말이다. 따라서 자기 아내를 '부인'이라고 부르면 실례가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이 '집에 혼자 있는 부인이 걱정돼 매시간 확인을 합니다'라고 말한다면 예절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부인' 대신 '아내'나 '집사람'이라고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30
1456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25
1455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28
1454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28
1453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32
1452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37
1451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0
1450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42
1449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42
1448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43
1447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45
1446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46
1445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46
144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47
1443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48
1442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49
1441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5
1440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8
1439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59
1438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3
1437 -씩 바람의종 2010.01.23 9364
1436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75
1435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