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4

호칭과 예절

조회 수 880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칭과 예절

우리 사회에서는 위계질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다 보니 사람을 직접 부르는 말(호칭)이나 가리키는 말(지칭)이 다양하게 발전했다. 부모에 대한 칭호만 해도 수십 가지에 이를 정도다. 성균관 전례연구원에 따르면 그중 기본이 되는 '아버지'와 '아버님'도 상황에 따라 구분해 쓰도록 되어 있다.

'아버지'는 자기 아버지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쓴다. 예를 들어 '아버지 진지 잡수셨습니까?' '저희 아버지는 공직에서 은퇴하셨습니다'와 같은 경우다. 반면 '아버님'은 남편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남편의 아버지를 말할 때, 또는 자기의 아버지에게 편지를 쓸 때 쓰는 칭호다. 예를 들면 며느리가 외출하면서 '아버님, 다녀오겠습니다'라고 하거나 친구에게 '우리 아버님은 남편과 꼭 닮았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 편지 글에서는 자기 아버지에게 '아버님전 상서'처럼 써도 좋다.

'어머니''어머님'도 똑 같은 기준으로 구별해 쓰면 된다. 이런 칭호들을 주의하지 않고 대충 사용하다 보면 무례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부인'과 '아내'를 잘못 쓰는 것이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지칭할 때 주로 쓰는 말이다. 따라서 자기 아내를 '부인'이라고 부르면 실례가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이 '집에 혼자 있는 부인이 걱정돼 매시간 확인을 합니다'라고 말한다면 예절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부인' 대신 '아내'나 '집사람'이라고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46
70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37
69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99
68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76
67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818
66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514
65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237
64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96
63 호송 / 후송 바람의종 2010.03.06 13695
62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496
61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68
60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416
59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115
»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809
57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087
56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243
55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32
54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277
53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126
52 혼성어 風文 2022.05.18 1441
51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784
50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47
49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6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