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2

울돌목 / 노들강변

조회 수 671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돌목 / 노들강변

어제 중앙일보 사회면에 '청계천에 잉어가 왔어요'라는 소식이 사진과 함께 실렸습니다. 냄새 나는 시궁창만을 생각했던 많은 사람이 장마를 틈타 청계천까지 거슬러 올라온 잉어의 모습에서 신선한 감동을 받았을 겁니다. 며칠 전 지방에서 올라온 한 친구와 한강변을 탐사했습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부터 자유로를 따라 한강 하류까지 돌다 재미있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친구가 차창 밖을 보다 '노들강변이 많이도 변했군'하며 마치 고유 지명이 있었던 것처럼 말한 데다 방송에서 '노들길 혼잡…' 등의 말도 들어본 적이 있어 '노들'이 무슨 뜻일까 궁금했습니다.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로 이어지는 민요도 있고 해 옛날 한강변에 버들이 많아 '길 로(路)'와 버들의'들'이 합성돼 노들강변·노들길 등이 만들어졌으리라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노들'은 한강 남쪽 동네의 이름으로 예전의 과천 땅이자 지금의 노량진동을 말합니다. 노량진은 본래 '노돌나루'라 불렸습니다. '노량'의 한자어 '백로 로(鷺)'와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음과 훈(새김)을 따 '노돌'이라고 했다가 '노들'로 변한 것에 '강변'을 붙여 '노들강변', 즉 노량 나루터를 칭하는 고유명사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조어의 대표적 지명으로 전남 해남과 진도를 이어주는 물살 빠른 해협 '울돌목'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 유명한 울돌목은 한자어 '울 명(鳴)'과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훈만 따 부르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53
2006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65
2005 -씩 바람의종 2010.01.23 9459
2004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56
2003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52
2002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449
2001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443
2000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439
1999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39
1998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437
1997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35
1996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34
1995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33
1994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33
1993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425
1992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419
1991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418
1990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417
1989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414
1988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13
1987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408
1986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8
1985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