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2

울돌목 / 노들강변

조회 수 666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돌목 / 노들강변

어제 중앙일보 사회면에 '청계천에 잉어가 왔어요'라는 소식이 사진과 함께 실렸습니다. 냄새 나는 시궁창만을 생각했던 많은 사람이 장마를 틈타 청계천까지 거슬러 올라온 잉어의 모습에서 신선한 감동을 받았을 겁니다. 며칠 전 지방에서 올라온 한 친구와 한강변을 탐사했습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부터 자유로를 따라 한강 하류까지 돌다 재미있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친구가 차창 밖을 보다 '노들강변이 많이도 변했군'하며 마치 고유 지명이 있었던 것처럼 말한 데다 방송에서 '노들길 혼잡…' 등의 말도 들어본 적이 있어 '노들'이 무슨 뜻일까 궁금했습니다.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로 이어지는 민요도 있고 해 옛날 한강변에 버들이 많아 '길 로(路)'와 버들의'들'이 합성돼 노들강변·노들길 등이 만들어졌으리라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노들'은 한강 남쪽 동네의 이름으로 예전의 과천 땅이자 지금의 노량진동을 말합니다. 노량진은 본래 '노돌나루'라 불렸습니다. '노량'의 한자어 '백로 로(鷺)'와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음과 훈(새김)을 따 '노돌'이라고 했다가 '노들'로 변한 것에 '강변'을 붙여 '노들강변', 즉 노량 나루터를 칭하는 고유명사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조어의 대표적 지명으로 전남 해남과 진도를 이어주는 물살 빠른 해협 '울돌목'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 유명한 울돌목은 한자어 '울 명(鳴)'과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훈만 따 부르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20
2578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111
2577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28
2576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289
2575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27
2574 웃, 윗 바람의종 2010.04.24 10687
2573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371
2572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566
2571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13
2570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62
2569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19
»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60
2567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26
2566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514
2565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28
2564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093
2563 운명, 유명 바람의종 2008.12.26 8899
2562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09
2561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60
2560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15
2559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73
255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189
255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