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2

울돌목 / 노들강변

조회 수 672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돌목 / 노들강변

어제 중앙일보 사회면에 '청계천에 잉어가 왔어요'라는 소식이 사진과 함께 실렸습니다. 냄새 나는 시궁창만을 생각했던 많은 사람이 장마를 틈타 청계천까지 거슬러 올라온 잉어의 모습에서 신선한 감동을 받았을 겁니다. 며칠 전 지방에서 올라온 한 친구와 한강변을 탐사했습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부터 자유로를 따라 한강 하류까지 돌다 재미있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친구가 차창 밖을 보다 '노들강변이 많이도 변했군'하며 마치 고유 지명이 있었던 것처럼 말한 데다 방송에서 '노들길 혼잡…' 등의 말도 들어본 적이 있어 '노들'이 무슨 뜻일까 궁금했습니다.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로 이어지는 민요도 있고 해 옛날 한강변에 버들이 많아 '길 로(路)'와 버들의'들'이 합성돼 노들강변·노들길 등이 만들어졌으리라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노들'은 한강 남쪽 동네의 이름으로 예전의 과천 땅이자 지금의 노량진동을 말합니다. 노량진은 본래 '노돌나루'라 불렸습니다. '노량'의 한자어 '백로 로(鷺)'와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음과 훈(새김)을 따 '노돌'이라고 했다가 '노들'로 변한 것에 '강변'을 붙여 '노들강변', 즉 노량 나루터를 칭하는 고유명사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조어의 대표적 지명으로 전남 해남과 진도를 이어주는 물살 빠른 해협 '울돌목'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 유명한 울돌목은 한자어 '울 명(鳴)'과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훈만 따 부르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20
2644 로드맵 바람의종 2010.02.15 6806
2643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813
2642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816
2641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817
2640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7
2639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818
2638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819
2637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821
2636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828
2635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32
2634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834
2633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834
2632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36
2631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837
2630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837
2629 노다지 바람의종 2008.02.03 6839
262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40
2627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42
2626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44
2625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47
2624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848
262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