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2

울돌목 / 노들강변

조회 수 667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울돌목 / 노들강변

어제 중앙일보 사회면에 '청계천에 잉어가 왔어요'라는 소식이 사진과 함께 실렸습니다. 냄새 나는 시궁창만을 생각했던 많은 사람이 장마를 틈타 청계천까지 거슬러 올라온 잉어의 모습에서 신선한 감동을 받았을 겁니다. 며칠 전 지방에서 올라온 한 친구와 한강변을 탐사했습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부터 자유로를 따라 한강 하류까지 돌다 재미있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친구가 차창 밖을 보다 '노들강변이 많이도 변했군'하며 마치 고유 지명이 있었던 것처럼 말한 데다 방송에서 '노들길 혼잡…' 등의 말도 들어본 적이 있어 '노들'이 무슨 뜻일까 궁금했습니다.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로 이어지는 민요도 있고 해 옛날 한강변에 버들이 많아 '길 로(路)'와 버들의'들'이 합성돼 노들강변·노들길 등이 만들어졌으리라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노들'은 한강 남쪽 동네의 이름으로 예전의 과천 땅이자 지금의 노량진동을 말합니다. 노량진은 본래 '노돌나루'라 불렸습니다. '노량'의 한자어 '백로 로(鷺)'와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음과 훈(새김)을 따 '노돌'이라고 했다가 '노들'로 변한 것에 '강변'을 붙여 '노들강변', 즉 노량 나루터를 칭하는 고유명사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조어의 대표적 지명으로 전남 해남과 진도를 이어주는 물살 빠른 해협 '울돌목'이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 유명한 울돌목은 한자어 '울 명(鳴)'과 '징검 돌 양(梁)'에서 각각 훈만 따 부르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17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39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18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48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05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97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9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60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67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52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3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66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48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570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80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19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0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58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77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