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0

싹쓸바람

조회 수 702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싹쓸바람

고요-실바람-남실바람-산들바람-건들바람-흔들바람-된바람-센바람-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등급, 0~12까지 13등급)에 맞춰 기상청에서 붙여 놓은 우리말 바람 이름이다.

큰바람(초속 17.2~20.7m)부터 태풍에 속하며, '싹쓸바람'은 초속 32.7m 이상으로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는 바람을 말한다. 지난해 큰 피해를 낸 태풍 '매미'는 부산에서 초속 40~50m의 강풍이 측정될 정도의 '싹쓸바람'이었다. 이번에 많은 비를 뿌렸지만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소멸된 '민들레'도 우리나라에 접근할 때엔 '싹쓸바람'의 위력을 지닌 것이었다('매미'와 '민들레'는 북한이 아시아태풍위원회에 제출한 우리말 태풍 이름).

'싹쓸바람'은 그 바람이 닥치면 육지의 모든 것이 쓸려 갈 수도 있는 엄청난 바람이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이다. '매미'나 '민들레'처럼 초강력 태풍일 경우 단순히 '초속 몇 미터 이상의 강풍'이라고 하는 것보다 '싹쓸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이 위험성을 더 쉽게 알릴 수 있으며,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재는 기상청마저 쓰지 않는 용어로 듣기 어려운 말이 됐다. 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등 태풍의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우리말 이름을 기상청부터 나서서 사용했으면 한다. 다가오는 태풍의 위력을 쉽게 인식시키고, 풍부한 우리말 어휘도 살려 쓰는 일거양득의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57
2006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522
2005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74
2004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74
2003 외래어에서 무성 파열음 표기 바람의종 2010.01.18 10869
2002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39
2001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87
2000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60
1999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31
1998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93
1997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329
1996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301
1995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16
1994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45
1993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62
1992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46
1991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47
1990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67
1989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5
1988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81
1987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30
1986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70
1985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2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