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0

싹쓸바람

조회 수 700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싹쓸바람

고요-실바람-남실바람-산들바람-건들바람-흔들바람-된바람-센바람-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등급, 0~12까지 13등급)에 맞춰 기상청에서 붙여 놓은 우리말 바람 이름이다.

큰바람(초속 17.2~20.7m)부터 태풍에 속하며, '싹쓸바람'은 초속 32.7m 이상으로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는 바람을 말한다. 지난해 큰 피해를 낸 태풍 '매미'는 부산에서 초속 40~50m의 강풍이 측정될 정도의 '싹쓸바람'이었다. 이번에 많은 비를 뿌렸지만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소멸된 '민들레'도 우리나라에 접근할 때엔 '싹쓸바람'의 위력을 지닌 것이었다('매미'와 '민들레'는 북한이 아시아태풍위원회에 제출한 우리말 태풍 이름).

'싹쓸바람'은 그 바람이 닥치면 육지의 모든 것이 쓸려 갈 수도 있는 엄청난 바람이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이다. '매미'나 '민들레'처럼 초강력 태풍일 경우 단순히 '초속 몇 미터 이상의 강풍'이라고 하는 것보다 '싹쓸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이 위험성을 더 쉽게 알릴 수 있으며,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재는 기상청마저 쓰지 않는 용어로 듣기 어려운 말이 됐다. 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등 태풍의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우리말 이름을 기상청부터 나서서 사용했으면 한다. 다가오는 태풍의 위력을 쉽게 인식시키고, 풍부한 우리말 어휘도 살려 쓰는 일거양득의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31
1456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67
1455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67
1454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70
1453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71
1452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74
1451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75
1450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5
1449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378
1448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5
1447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89
1446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90
1445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92
1444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96
1443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05
1442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406
1441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8
1440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8
1439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412
1438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414
1437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24
1436 -씩 바람의종 2010.01.23 9426
1435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