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0

싹쓸바람

조회 수 696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싹쓸바람

고요-실바람-남실바람-산들바람-건들바람-흔들바람-된바람-센바람-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등급, 0~12까지 13등급)에 맞춰 기상청에서 붙여 놓은 우리말 바람 이름이다.

큰바람(초속 17.2~20.7m)부터 태풍에 속하며, '싹쓸바람'은 초속 32.7m 이상으로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는 바람을 말한다. 지난해 큰 피해를 낸 태풍 '매미'는 부산에서 초속 40~50m의 강풍이 측정될 정도의 '싹쓸바람'이었다. 이번에 많은 비를 뿌렸지만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소멸된 '민들레'도 우리나라에 접근할 때엔 '싹쓸바람'의 위력을 지닌 것이었다('매미'와 '민들레'는 북한이 아시아태풍위원회에 제출한 우리말 태풍 이름).

'싹쓸바람'은 그 바람이 닥치면 육지의 모든 것이 쓸려 갈 수도 있는 엄청난 바람이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이다. '매미'나 '민들레'처럼 초강력 태풍일 경우 단순히 '초속 몇 미터 이상의 강풍'이라고 하는 것보다 '싹쓸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이 위험성을 더 쉽게 알릴 수 있으며,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재는 기상청마저 쓰지 않는 용어로 듣기 어려운 말이 됐다. 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등 태풍의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우리말 이름을 기상청부터 나서서 사용했으면 한다. 다가오는 태풍의 위력을 쉽게 인식시키고, 풍부한 우리말 어휘도 살려 쓰는 일거양득의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2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7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32
2116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789
2115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792
2114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794
2113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799
2112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7806
2111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10
2110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12
2109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4
2108 주최, 주관, 후원 바람의종 2009.07.23 7815
2107 망나니 風磬 2006.11.26 7817
2106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17
2105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18
2104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19
2103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20
2102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22
2101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22
2100 윗옷, 웃옷 바람의종 2008.09.25 7828
2099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29
209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829
2097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29
2096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29
2095 바람의종 2009.05.06 78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