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0

싹쓸바람

조회 수 698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싹쓸바람

고요-실바람-남실바람-산들바람-건들바람-흔들바람-된바람-센바람-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등급, 0~12까지 13등급)에 맞춰 기상청에서 붙여 놓은 우리말 바람 이름이다.

큰바람(초속 17.2~20.7m)부터 태풍에 속하며, '싹쓸바람'은 초속 32.7m 이상으로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는 바람을 말한다. 지난해 큰 피해를 낸 태풍 '매미'는 부산에서 초속 40~50m의 강풍이 측정될 정도의 '싹쓸바람'이었다. 이번에 많은 비를 뿌렸지만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소멸된 '민들레'도 우리나라에 접근할 때엔 '싹쓸바람'의 위력을 지닌 것이었다('매미'와 '민들레'는 북한이 아시아태풍위원회에 제출한 우리말 태풍 이름).

'싹쓸바람'은 그 바람이 닥치면 육지의 모든 것이 쓸려 갈 수도 있는 엄청난 바람이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이다. '매미'나 '민들레'처럼 초강력 태풍일 경우 단순히 '초속 몇 미터 이상의 강풍'이라고 하는 것보다 '싹쓸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이 위험성을 더 쉽게 알릴 수 있으며,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재는 기상청마저 쓰지 않는 용어로 듣기 어려운 말이 됐다. 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등 태풍의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우리말 이름을 기상청부터 나서서 사용했으면 한다. 다가오는 태풍의 위력을 쉽게 인식시키고, 풍부한 우리말 어휘도 살려 쓰는 일거양득의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12
2226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812
2225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60
2224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25
222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25
2222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41
2221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75
2220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2219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51
2218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26
2217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09
2216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74
2215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534
2214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0
2213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38
2212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50
2211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3
2210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30
2209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2
2208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44
2207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56
2206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05
2205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