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03 16:40

싹쓸바람

조회 수 698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싹쓸바람

고요-실바람-남실바람-산들바람-건들바람-흔들바람-된바람-센바람-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등급, 0~12까지 13등급)에 맞춰 기상청에서 붙여 놓은 우리말 바람 이름이다.

큰바람(초속 17.2~20.7m)부터 태풍에 속하며, '싹쓸바람'은 초속 32.7m 이상으로 엄청난 피해를 일으키는 바람을 말한다. 지난해 큰 피해를 낸 태풍 '매미'는 부산에서 초속 40~50m의 강풍이 측정될 정도의 '싹쓸바람'이었다. 이번에 많은 비를 뿌렸지만 다행히 큰 피해 없이 소멸된 '민들레'도 우리나라에 접근할 때엔 '싹쓸바람'의 위력을 지닌 것이었다('매미'와 '민들레'는 북한이 아시아태풍위원회에 제출한 우리말 태풍 이름).

'싹쓸바람'은 그 바람이 닥치면 육지의 모든 것이 쓸려 갈 수도 있는 엄청난 바람이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이다. '매미'나 '민들레'처럼 초강력 태풍일 경우 단순히 '초속 몇 미터 이상의 강풍'이라고 하는 것보다 '싹쓸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이 위험성을 더 쉽게 알릴 수 있으며, 대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재는 기상청마저 쓰지 않는 용어로 듣기 어려운 말이 됐다. 큰바람-큰센바람-노대바람-왕바람-싹쓸바람 등 태풍의 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우리말 이름을 기상청부터 나서서 사용했으면 한다. 다가오는 태풍의 위력을 쉽게 인식시키고, 풍부한 우리말 어휘도 살려 쓰는 일거양득의 일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88
2226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29
2225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29
2224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7
2223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2222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3
2221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19
2220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18
2219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15
2218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11
2217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11
2216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01
2215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901
2214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900
2213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94
2212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8
221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87
2210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87
2209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87
2208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86
2207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83
2206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79
2205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