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52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해(食)'와 '식혜(食醯)'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땐 별미 여행을 떠나보는 것도 여름을 나는 한 방법입니다. 며칠 전 제법 식도락(食道樂)을 즐긴다는 한 친구와 식당에 갔는데 그가 대뜸 이런 주문을 하더군요. '아줌마, '식해'한 접시 갖다 주세요. 시큼하게 잘 삭힌 걸로.' 은근한 단맛과 발효된 쌀알이 동동 떠 운치를 더해 주는 '식혜'를 생각하며 '그거, 여름에 딱 좋지'라고 맞장구를 쳤던 나는 순간 '식혜'를 달라면서 '시큼한 것으로'란 말을 덧붙인 것에 의아했습니다. '식혜'에 대한 친구의 미각과 그 표현 한번 독특하다고 느끼다 아, 그 '식혜'가 아니라 '식해'를 말하는구나 하고 깨달았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마시는 '식혜'와 요리로서의 '식해'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것입니다. '식해(食)'와 '식혜(食醯)'의 한자어에서 보듯 둘 다 '밥'이 공통적인 재료로 들어가고 숙성시켜 만든 음식이란 점에선 비슷하지만 첨가되는 내용물에 따라 그 맛이 각각 미묘하게 나타납니다. 엿기름(보리를 싹 틔워 말린 뒤 가루로 만든 것) 우린 물에 쌀밥(지에밥)을 삭혀 띄운 것이 우리 주변에서 흔히 알고 있는 '감주(甘酒)'라 불리는 '식혜'입니다. 반면 '식해'는 좁쌀·찹쌀 등으로 만든 밥과 계절에 맞는 생선을 새콤달콤하게 버무려 삭힌 것으로 주로 해안 지방에서 발달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함경도 가자미식해·도루묵식해, 황해도 연안식해, 강원도 북어식해, 경상도 마른고기식해 등 종류도 다양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75
2226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828
2225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76
2224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559
2223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0
2222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75
2221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689
2220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59
2219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853
2218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65
2217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71
2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189
2215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14
2214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29
2213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487
2212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51
2211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752
2210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59
2209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61
2208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599
2207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12
»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28
2205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1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