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18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날씨가 끄느름하더니 결국 비가 오신다. 작달비다. '오신다'고 하기엔 마음이 넉넉지 않다. 우산을 챙기지 못했다. 장마가 한창인데 꼼꼼하지 못한 내 탓이지, 비 때문이랴. 비를 긋고 가기엔 출근이 너무 늦는데 세찬 빗방울이 바닥을 차고 튀어 오른다. 도시의 비는 불쾌하다. 끈적끈적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몇 해 전 지리산 동부능선에서 맞은 억수비가 그립다. 물을 퍼붓듯 억수같이 내리부었다. 하늘에 구멍이 뚫린 줄 알고 얼마나 놀랐던지. 그렇게 큰비는 처음이었다. '장대비에 무자비하게 두들겨 맞은 풀잎처럼' 서럽도록 상쾌했다. 신문에 연잎 우산을 쓰고 활짝 웃는 어린이들의 사진이 실렸다. 하, 온몸을 감추고도 남는 연잎 우산이라….

도회에서 태어나 자란 내겐 낯선 그림이지만 참 예쁘다. 어릴 적 살던 곳은 서울 변두리였다. '멀리서 먹장 같은 구름장 한 장이 빠르게 다가온다. 해님이 쨍쨍한데 시원한 빗줄기를 뿌리곤 달아난다.' 그게 여우비라는 건 조금 커서 알았다. 소곤거리며 내리는 비는 굳이 크기를 따지면 '가랑비·이슬비·는개·안개비' 순으로 굵다. 지난 며칠 구질구질 궂은비가 내렸다. 올해는 봄장마가 있더니 장맛비는 그리 심하지 않으려나 보다. 더위 꺾이면 늦장마라도 지려나. 초가을 건들장마로 농부들 마음 어지럽겠다. 가을장마가 닥치면 일껏 베어 놓은 나락 거둬들이는 손길이 바쁠 텐데.

*장마비는 사이시옷을 받쳐 장맛비로 쓴다. 해님의 '님'은 '달님·별님·토끼님'의 '님'과 같은 접미사여서 사이시옷을 받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16
2226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27
2225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391
2224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02
2223 엑박 바람의종 2010.03.30 10885
2222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904
2221 내려쬐다, 내리쬐다 바람의종 2010.03.26 10663
2220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878
2219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23
2218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082
2217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76
2216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396
2215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508
2214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46
2213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258
2212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279
2211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30
2210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3
2209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61
2208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11
2207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37
2206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883
2205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3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