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7

정상 정복, 등정

조회 수 642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상 정복, 등정

한 여성이 최근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8848m)를 홀로 올랐다. 오은선(38). 1m55㎝, 48㎏으로 가냘프지만 당당하다. 그는 동료도, 셰르파도 없이 히말라야 '눈의 여신'(사가르마타·에베레스트의 네팔 이름)의 품에 안겼다. 한국 여성으로선 최초의 단독 등정이다. 히말라야엔 8000m가 넘는 봉우리가 14개 있다. 이를 모두 오른 사람은 11명뿐이다. 이탈리아·폴란드·스페인이 둘, 스위스·멕시코가 한 명씩이다. 지난해 한왕용이 브로드피크를 등정함으로써 11번째 완등자가 됐다. 엄홍길·박영석에 이어 한국인으론 세번째다. 8000m는 죽음의 지대다. 불 같은 투지, 뛰어난 체력, 산에 대한 절절한 사랑으로도 모자란다. 신이 허락하지 않으면 오를 수 없다. 오은선도 정상 바로 밑에서 로프에 매달린 채 숨져 있는 절친한 후배의 주검을 본다. 그렇지만 올라야 했다.

'오은선, 에베레스트 정복'. 어느 신문의 기사처럼 산은 과연 정복의 대상인가. 정복이란 '다루기 어렵거나 힘든 대상을 뜻대로 다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상에 섰다고 그 산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가. 오은선의 말. '제 산행의 목표는 정상에서 무사히 내려오는 겁니다.' 정상에 서면 반드시 내려와야 한다. 산은 정상에 선 사람에게 오래 머무르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사람은 저마다 마음속에 올라야 할 산을 품고 산다. 오은선은 '7대륙 최고봉 등정'(2개 남겨 놓음)이란 목표를 이루면 '결혼봉'에 도전하겠단다. 정복의 기쁨보다 내려올 때를 겸손히 새겨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69
2226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27
2225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9
2224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40
2223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9
2222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8
2221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900
2220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86
2219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97
2218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93
2217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802
2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1
2215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51
2214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80
2213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0
2212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4
2211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911
2210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87
2209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7001
2208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85
2207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66
2206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88
2205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2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