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4

비듬나물

조회 수 977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듬나물


어떤 명칭을 두고 하필이면 그렇게 이름을 지었을까 생각해 본 적이 몇 번씩은 있을 것이다. 설날에 얇게 썰어 국을 끓여 먹는 가는 원통형의 떡을 가래떡이라고들 한다. 물론 떡의 모양을 염두에 두고 지은 명칭이겠지만 그 이름을 부를 때 예민한 이들은 떡 모양만 떠올리는 게 아니라 지저분한 어떤 것을 생각하게 된다. 음식 이름이라면 그것이 주는 이미지도 생각해야 할 텐데 못마땅하다. 또 식당에 가면 자주 나오는 반찬 중에 사람들이 흔히 '비듬나물'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그런데 다행히도 이것은 바른 명칭이 아니다. 이 나물의 재료 이름은 '비듬'이 아니라 '비름'이다. 그러므로 제대로만 불러주면 기분 나쁜 '비듬나물'이 아니라 '비름나물'을 먹을 수 있다.

기소권을 줄 것인가로 논란 중인 고위공직자비리조사처의 처음 약칭은 '공비처'였다. 신문·방송에도 한동안 오르내렸다. 남북이 지금보다 날카롭게 대립했던 시절을 겪은 사람들은 이 이름을 보고 마음이 불편했을 것이다. 왜 하필이면 무장공비를 떠올리게 하는 공비처란 말인가. 관계자 중에도 이런 생각을 한 사람이 있었던지 어느 날 약칭은 '고비처'로 바뀌었다. 그런데도 여전히 느낌이 생경하다. 이곳에 불려가는 사람들은 큰 고비에 처할 것이니 그 이름이 제격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비리조사처'라고 부른다면 알아보기가 더 쉬울 것이다. 정부 부처 명칭을 지을 때도 국민의 정서와 말의 느낌을 헤아려 달라고 요구한다면 아직은 한가한 소리가 될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25
2204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803
2203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396
2202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54
»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70
2200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7
219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2198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83
2197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59
2196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35
219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134
2194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382
2193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73
2192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679
2191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03
2190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26
2189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593
2188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870
2187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107
2186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49
2185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73
218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02
2183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