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1 09:34

비듬나물

조회 수 976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듬나물


어떤 명칭을 두고 하필이면 그렇게 이름을 지었을까 생각해 본 적이 몇 번씩은 있을 것이다. 설날에 얇게 썰어 국을 끓여 먹는 가는 원통형의 떡을 가래떡이라고들 한다. 물론 떡의 모양을 염두에 두고 지은 명칭이겠지만 그 이름을 부를 때 예민한 이들은 떡 모양만 떠올리는 게 아니라 지저분한 어떤 것을 생각하게 된다. 음식 이름이라면 그것이 주는 이미지도 생각해야 할 텐데 못마땅하다. 또 식당에 가면 자주 나오는 반찬 중에 사람들이 흔히 '비듬나물'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그런데 다행히도 이것은 바른 명칭이 아니다. 이 나물의 재료 이름은 '비듬'이 아니라 '비름'이다. 그러므로 제대로만 불러주면 기분 나쁜 '비듬나물'이 아니라 '비름나물'을 먹을 수 있다.

기소권을 줄 것인가로 논란 중인 고위공직자비리조사처의 처음 약칭은 '공비처'였다. 신문·방송에도 한동안 오르내렸다. 남북이 지금보다 날카롭게 대립했던 시절을 겪은 사람들은 이 이름을 보고 마음이 불편했을 것이다. 왜 하필이면 무장공비를 떠올리게 하는 공비처란 말인가. 관계자 중에도 이런 생각을 한 사람이 있었던지 어느 날 약칭은 '고비처'로 바뀌었다. 그런데도 여전히 느낌이 생경하다. 이곳에 불려가는 사람들은 큰 고비에 처할 것이니 그 이름이 제격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비리조사처'라고 부른다면 알아보기가 더 쉬울 것이다. 정부 부처 명칭을 지을 때도 국민의 정서와 말의 느낌을 헤아려 달라고 요구한다면 아직은 한가한 소리가 될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25
1236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12
1235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14
1234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4
1233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16
1232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17
1231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17
1230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20
1229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22
1228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29
1227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29
1226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40
1225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40
1224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42
1223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43
1222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50
1221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0
1220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59
1219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60
1218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1
121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65
1216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66
1215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