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20 14:49

꺽다

조회 수 869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꺽다

얼마 전 고등학생인 희진 양에게서 e-메일을 받았습니다. 요즘 '꺾다'를 '꺽다'로 쓰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친구들이 대부분 그렇게 써 혹시나 하고 인터넷에 들어가 검색해 보았더니 '꺽다'가 너무 많이 나와 한심하다는 생각에 글을 보낸다고 했습니다. 컴퓨터 자판이나 휴대전화 버튼을 한번 더 눌러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꺾다'의 받침을 'ㄱ'으로 쓰다 보니 '꺽다'가 이젠 틀린 글자인지도 모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틀리거나 말거나 관심도 없으며, 의사소통만 되면 그만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말을 걱정하는 희진 양이 대견스러웠습니다. 그의 지적처럼 인터넷 언어다, 외계어다 해서 아무 생각 없이 스스로 우리말을 파괴하고, 물속에서 외래어(魚)가 토종어를 마구 잡아먹으며 활개치듯이 외래어(語)가 국어를 유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글과 국어는 우리 민족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우리의 최대 문화유산임을 생각할 때 우리말 훼손을 다 함께 걱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003년 3월 3일 '맞습니다. 맞고요'를 시작으로 1년여를 이어 온 '우리말 바루기'가 오늘로 막을 내립니다. 딱딱하게 여겨질 수 있는 맞춤법과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알리고자 노력해 온 '우리말 바루기'가 우리말을 아끼고 가꾸어 나가는 데 작은 밑거름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동안 나간 글은 책으로 엮어낼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보여 주신 관심과 아낌없는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64
1720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1
1719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726
1718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726
1717 ‘-째’와 ‘채’ 바람의종 2010.01.26 8727
1716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32
1715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733
1714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6
1713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737
1712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737
1711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39
1710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41
1709 넨장맞을 바람의종 2008.02.22 8742
1708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43
1707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748
1706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51
1705 대폿잔과 소주잔 바람의종 2008.03.08 8751
1704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54
1703 억수 風磬 2007.01.19 8756
1702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757
1701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57
1700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08.06.08 8758
1699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