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49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자네 '마치맞은' 사람이 있는데 한번 만나 보려는가. 나이가 좀 많지만 아주 참한 처자일세.' '너무 그렇게 고르지 말게. 물 좋고 정자 좋은 곳이 어디 있는가.' 조금 연세가 드신 분이라면 혼인을 권하는 어른들에게서 이런 말을 들어봤을지도 모르겠다. 위 대화에 나오는 것처럼 '어떤 경우나 기회에 꼭 알맞다'라는 뜻으로 '마치맞다'를 쓰는 사람이 많지만 이런 상황에 맞는 표준어는 '마침맞다'이다. '아이들 간식거리가 다 떨어졌는데 마침맞게 과일을 사오셨네요' '벽지를 발라야 하는데 네가 마침맞게 돌아왔구나. 좀 도와다오'처럼 사용한다. '맞춤맞다'라고 쓰는 이도 있지만 역시 표준어가 아니다.

우리 사회는 현재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혼인하는 연령이 높아지고 출산율도 매우 낮은 지금의 상황이 지속되면 장래 국가 경쟁력에 문제가 생긴다고 한다. 가족계획을 시작했을 때는 이런 상황을 '염두하지' 못했을 것이다. 여기에서의 '염두(念頭)'는 '생각의 시초' 또는 '마음속'이라는 뜻을 지닌 단어로 '염두에 두다' '염두에 없다' '염두가 나다' '염두를 내다'처럼 쓴다. 이 말에 '-하다'를 붙여 '염두하다'라는 동사를 만드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잘못이다. 따라서 위의 '염두하지'는 '염두에 두지'로 고쳐야 한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이런 사회 상황을 염두에 둔다면 주변의 노총각 노처녀들에게 마침맞은 사람을 빨리 찾아 주고 혼인을 독려하는 것이 애국하는 길이 되는 셈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33
1258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9
1257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34
1256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554
1255 이음새 바람의종 2010.03.16 10632
1254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289
125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809
1252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383
1251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757
1250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259
1249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2020
1248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79
1247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811
1246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338
12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5
12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94
1243 오락·문화용어 바람의종 2010.03.19 14440
1242 사인 바람의종 2010.03.19 11277
1241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618
1240 옛부터? 바람의종 2010.03.19 14467
1239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31
1238 앞꿈치 / 뒤꿈치 바람의종 2010.03.19 11812
1237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