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9 10:14

햇쌀, 햅쌀, 해쌀

조회 수 1437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햇쌀, 햅쌀, 해쌀

우리말에서 '그해에 난 어떤 것'을 가리킬 때는 주로 접두사 '해-/햇-'이 쓰인다. '해암탉, 해콩, 해팥/햇감자, 햇과일, 햇김, 햇나물, 햇밤, 햇벼, 햇병아리, 햇보리, 햇비둘기' 등이 그 예다. '해-/햇-'은 다음에 오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하거나 첫 자음이 된소리나 거센소리이면 '해-'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햇-'을 쓴다.

그렇다면 '그해에 새로 난 쌀'을 가리키는 말은 무엇일까. 원래 '쌀'은 'ㅆ'이 단어의 첫머리에 오기 때문에 앞의 말대로라면 '해쌀'로 써야 하지만 특별히 '쌀'에는 'ㅂ'을 첨가해 '햅쌀'을 바른 표기로 삼고 있다. 그 이유는 '쌀'이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시기까지는 단어의 첫머리에 'ㅂ'소리를 가지고 있는 ''이었다. '쌀'의 어두에 'ㅂ'소리가 있는 것은 송나라 때 손목이 『계림유사』에서 '쌀'을 '보살(菩薩)'로 표기한 데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해'에서 'ㅂ'이 '해'의 받침소리로 나는 것이다. '찹쌀(차+쌀), 멥쌀(메+쌀), 좁쌀(조+쌀), 입쌀(이+쌀) 등도 같은 예다.

단어 첫머리에 'ㅂ'이 흔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쌀' 이외에 '댑싸리(대+싸리), 접때(저+때), 입때(이+때), 볍씨(벼+씨)' 등이 있다. 그러면 그해에 새로 난 포도나 포도주는 어떻게 적어야 할까. 앞의 말대로라면 '해포도, 해포도주'라고 써야 하는데 그렇게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 '햇포도, 햇포도주'로 쓴다. 아직 어느 사전도 여기에 대한 언급이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65
2028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69
2027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305
2026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494
2025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858
2024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52
2023 -씩 바람의종 2010.01.23 9462
2022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147
2021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74
2020 그러잖아도는 동작, 그렇잖아도는 상태 바람의종 2010.01.22 10755
2019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46
201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4
2017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550
2016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66
2015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508
2014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63
2013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72
2012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92
2011 말 비틀기(2) 바람의종 2010.01.20 8814
2010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28
2009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633
200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525
2007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