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8 10:43

그슬리다, 그을리다

조회 수 1107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슬리다, 그을리다

섭씨 30도를 넘는 날이 잦다 보니 벌써 여름이 된 듯합니다. 기상청은 올 여름이 예년에 비해 유난히 더울 것이라고 예보했습니다. 이 같은 더위엔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며 보양식으로 몸을 달래는 것도 좋지만 태양을 벗삼아 산과 바다, 젊음이 하나가 되는 것도 여름을 나는 한 방법입니다.

여름에 떠올릴 수 있는 단어로 '그을리다'와 '그슬리다'가 있습니다. 불·빛·열 등도 이롭게 쓸 줄 아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말인데 표현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그슬리다'는 '촛불에 머리카락이 그슬렸다' '장작불에 물고기를 그슬려 먹었다' 등에서 볼 수 있듯 '그슬다'의 피동·사동 형태로 '불에 겉만 약간 타게 하거나 알맞게 익힌다'라는 뜻의 말입니다.

반면에 '그을리다'는 '사물에 볕이나 연기 등을 오래 쬐어 검게 만든다'라는 뜻으로 '타다·익히다'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말입니다. 여름날 해변에서 여인들이 햇볕을 받아 구릿빛이 됐을 때 '너의 몸을 알맞게 그슬려 보기 좋구나'라는 표현은 '너의 몸을 알맞게 그을려 보기 좋구나'라고 해야 맞습니다. '그슬려'를 쓰면 '너의 몸을 알맞게 구워 보기 좋구나'라는 뜻이 돼 상대의 인상을 찌푸리게 할 수 있습니다.

'그슬다'와 '그을다'의 명사 '그슬음'과 '그을음'은 의미가 더욱 다릅니다. '그슬음'은 '불에 겉만 약간 타게 하는 동작'을 나타내지만, '그을음'은 '물질이 탈 때 나오는 검댕'을 가리킵니다. 참고로 '그을다'의 어간 '그을'에 '은'이 연결되면 'ㄹ'이 탈락돼 '그은'으로 활용된다는 점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50
1258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676
1257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6796
1256 장진, 장전 바람의종 2009.02.10 10892
1255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569
1254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67
1253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00
1252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70
1251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49
1250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094
1249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870
1248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593
1247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26
1246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01
1245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679
»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73
1243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375
1242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134
1241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35
1240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59
1239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83
1238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123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