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7 04:50

귀절 / 구절

조회 수 1101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절 / 구절

광화문 글판이 여름을 맞아 새롭게 옷을 갈아입었다. '나무 그늘에 앉아/다른 사람의 눈물을 닦아주는 모습은/그 얼마나 고요한 아름다움인가'. 서민들의 고단한 마음을 활짝 펴주는 정호승 시인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한 '구절(句節)'이다. 1991년 짤막한 '글귀'로 시작한 광화문 글판은 10여년을 함께하면서 어느덧 시민의 작은 마음의 쉼터가 되고 있다.

'구절'과 '글귀'는 '구절 구(句)'가 붙어 짜인 낱말이다. 그러나 한 음이 구ㆍ귀로 다르게 읽혀 표기할 때 혼동을 빚는 경우가 많다. "막막할 때마다 그를 지켜준 성경 귀절이 있다" "'한 자루의 촛불이 어둠을 몰아낼 수 있고 한 번의 웃음이 우울함을 날려 보낼 수 있다'는 귀절은 탁낫한 스님의 말씀이다" 등은 잘못 쓰인 예다.

한글 맞춤법에선 '구(句)'가 붙어 이뤄진 단어는 '귀'로 읽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구'로 쓰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귀절'이 아니라 '구절'로 써야 맞다. 경구(警句)ㆍ대구(對句)ㆍ문구(文句)ㆍ어구(語句) 등도 마찬가지다. 특히 '시구(詩句)'의 경우 [싯구] [싯귀] 등으로 발음해 표기에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북녘 땅엔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네'라는 싯귀처럼 새해가 와도 경제가 필 싹수가 보이지 않는다" 등은 '시구'를 잘못 쓴 예다. 단 예외 규정으로 글의 구나 절을 뜻하는 '글귀'와 한시에서 두 마디가 한 덩이씩 되게 지은 글인 '귀글'은 '귀'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즉 글귀.귀글을 제외한 경우는 '구'로 쓴다고 이해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61
2864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21
2863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13
2862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2010
2861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2003
2860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994
2859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92
2858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91
2857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90
2856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89
2855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80
2854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78
2853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78
2852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68
2851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0
2850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29
2849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27
284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21
2847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08
2846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1
2845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98
284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94
2843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