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7 04:50

귀절 / 구절

조회 수 1102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절 / 구절

광화문 글판이 여름을 맞아 새롭게 옷을 갈아입었다. '나무 그늘에 앉아/다른 사람의 눈물을 닦아주는 모습은/그 얼마나 고요한 아름다움인가'. 서민들의 고단한 마음을 활짝 펴주는 정호승 시인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한 '구절(句節)'이다. 1991년 짤막한 '글귀'로 시작한 광화문 글판은 10여년을 함께하면서 어느덧 시민의 작은 마음의 쉼터가 되고 있다.

'구절'과 '글귀'는 '구절 구(句)'가 붙어 짜인 낱말이다. 그러나 한 음이 구ㆍ귀로 다르게 읽혀 표기할 때 혼동을 빚는 경우가 많다. "막막할 때마다 그를 지켜준 성경 귀절이 있다" "'한 자루의 촛불이 어둠을 몰아낼 수 있고 한 번의 웃음이 우울함을 날려 보낼 수 있다'는 귀절은 탁낫한 스님의 말씀이다" 등은 잘못 쓰인 예다.

한글 맞춤법에선 '구(句)'가 붙어 이뤄진 단어는 '귀'로 읽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구'로 쓰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귀절'이 아니라 '구절'로 써야 맞다. 경구(警句)ㆍ대구(對句)ㆍ문구(文句)ㆍ어구(語句) 등도 마찬가지다. 특히 '시구(詩句)'의 경우 [싯구] [싯귀] 등으로 발음해 표기에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북녘 땅엔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네'라는 싯귀처럼 새해가 와도 경제가 필 싹수가 보이지 않는다" 등은 '시구'를 잘못 쓴 예다. 단 예외 규정으로 글의 구나 절을 뜻하는 '글귀'와 한시에서 두 마디가 한 덩이씩 되게 지은 글인 '귀글'은 '귀'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즉 글귀.귀글을 제외한 경우는 '구'로 쓴다고 이해하면 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7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22
2204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85
2203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17
2202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95
2201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93
2200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2
219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40
2198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14
2197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87
2196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58
219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97
2194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51
2193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96
2192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718
»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24
2190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45
2189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609
2188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900
2187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18
2186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71
2185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82
218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2183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