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4 03:27

낱알, 낟알 / 옛, 예

조회 수 892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낱알, 낟알 / 옛, 예

지난 주말 동료 몇 사람이 번잡한 일상을 탈출해 남녘의 기운을 가득 안고 돌아왔습니다. 땅끝까지 이어진 둥글넓적한 야산과 들녘엔 싱그러운 신록과 노란 보리 군락이 바다와 어울려 일렁이고 있었습니다. 불현듯 보리피리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동무들과 풀밭에서 행운의 네 잎 클로버를 찾고는 좋아했던 일, 때 이른 보리 '낟알'을 그슬려 먹느라 눈·코·입 언저리에 검댕 묻는 줄 몰랐던 '옛 기억'이 새로웠습니다.

위에서 보인 '낟알'과 '옛'은 '낱알''예'와 표기가 비슷해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 단어입니다. 그러나 각기 그 쓰임이 다릅니다. '낟알'은 아직 껍질을 벗기지 않은 곡식의 알을 말합니다. '낟알을 줍다' '탈곡을 하지 않고 낟알을 그대로 보관해 두었다'처럼 쓰입니다.

이와 달리 '낱알'은 따로따로인 곡식 알갱이를 가리킵니다. 이때의 '낱'은 셀 수 있는 물건의 하나하나를 지칭해 '낱장·낱권·낱개·낱켤레'와 같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주로 쓰입니다.

'옛'과 '예'역시 문장에서 둘 다 사용되지만 내용에 따라 구별해 써야 합니다. '옛'은 '옛 자취, 옛 추억, 옛 친구'등에서 보듯 '지나간 때의'라는 의미가 있으며, 뒤에 반드시 꾸밈을 받는 말이 와야 합니다. 반면 '예'는 '옛적·오래전'이란 뜻의 '아주 먼 과거'를 나타내는 명사로 '예나' '예부터'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예스러운 맛이 나는 복고바람이 거세다'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동방예의지국이다'등과 같이 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23
2050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97
2049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70
20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8
204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54
2046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527
2045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773
2044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830
2043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84
204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66
2041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65
20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485
20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67
203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28
20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9019
203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2035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19
2034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832
2033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32
2032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151
2031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59
203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923
202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