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4 03:27

낱알, 낟알 / 옛, 예

조회 수 892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낱알, 낟알 / 옛, 예

지난 주말 동료 몇 사람이 번잡한 일상을 탈출해 남녘의 기운을 가득 안고 돌아왔습니다. 땅끝까지 이어진 둥글넓적한 야산과 들녘엔 싱그러운 신록과 노란 보리 군락이 바다와 어울려 일렁이고 있었습니다. 불현듯 보리피리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동무들과 풀밭에서 행운의 네 잎 클로버를 찾고는 좋아했던 일, 때 이른 보리 '낟알'을 그슬려 먹느라 눈·코·입 언저리에 검댕 묻는 줄 몰랐던 '옛 기억'이 새로웠습니다.

위에서 보인 '낟알'과 '옛'은 '낱알''예'와 표기가 비슷해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 단어입니다. 그러나 각기 그 쓰임이 다릅니다. '낟알'은 아직 껍질을 벗기지 않은 곡식의 알을 말합니다. '낟알을 줍다' '탈곡을 하지 않고 낟알을 그대로 보관해 두었다'처럼 쓰입니다.

이와 달리 '낱알'은 따로따로인 곡식 알갱이를 가리킵니다. 이때의 '낱'은 셀 수 있는 물건의 하나하나를 지칭해 '낱장·낱권·낱개·낱켤레'와 같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주로 쓰입니다.

'옛'과 '예'역시 문장에서 둘 다 사용되지만 내용에 따라 구별해 써야 합니다. '옛'은 '옛 자취, 옛 추억, 옛 친구'등에서 보듯 '지나간 때의'라는 의미가 있으며, 뒤에 반드시 꾸밈을 받는 말이 와야 합니다. 반면 '예'는 '옛적·오래전'이란 뜻의 '아주 먼 과거'를 나타내는 명사로 '예나' '예부터'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예스러운 맛이 나는 복고바람이 거세다'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동방예의지국이다'등과 같이 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9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43
2050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71
2049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565
2048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5
2047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65
2046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562
2045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57
2044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7
2043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554
2042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52
2041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51
2040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9
2039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48
2038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46
2037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45
2036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544
203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541
2034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539
20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531
2032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31
2031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9
2030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28
2029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