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4 03:27

낱알, 낟알 / 옛, 예

조회 수 888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낱알, 낟알 / 옛, 예

지난 주말 동료 몇 사람이 번잡한 일상을 탈출해 남녘의 기운을 가득 안고 돌아왔습니다. 땅끝까지 이어진 둥글넓적한 야산과 들녘엔 싱그러운 신록과 노란 보리 군락이 바다와 어울려 일렁이고 있었습니다. 불현듯 보리피리 소리가 들리는 듯하고, 동무들과 풀밭에서 행운의 네 잎 클로버를 찾고는 좋아했던 일, 때 이른 보리 '낟알'을 그슬려 먹느라 눈·코·입 언저리에 검댕 묻는 줄 몰랐던 '옛 기억'이 새로웠습니다.

위에서 보인 '낟알'과 '옛'은 '낱알''예'와 표기가 비슷해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 단어입니다. 그러나 각기 그 쓰임이 다릅니다. '낟알'은 아직 껍질을 벗기지 않은 곡식의 알을 말합니다. '낟알을 줍다' '탈곡을 하지 않고 낟알을 그대로 보관해 두었다'처럼 쓰입니다.

이와 달리 '낱알'은 따로따로인 곡식 알갱이를 가리킵니다. 이때의 '낱'은 셀 수 있는 물건의 하나하나를 지칭해 '낱장·낱권·낱개·낱켤레'와 같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주로 쓰입니다.

'옛'과 '예'역시 문장에서 둘 다 사용되지만 내용에 따라 구별해 써야 합니다. '옛'은 '옛 자취, 옛 추억, 옛 친구'등에서 보듯 '지나간 때의'라는 의미가 있으며, 뒤에 반드시 꾸밈을 받는 말이 와야 합니다. 반면 '예'는 '옛적·오래전'이란 뜻의 '아주 먼 과거'를 나타내는 명사로 '예나' '예부터'등의 형태로 사용됩니다.'예스러운 맛이 나는 복고바람이 거세다'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동방예의지국이다'등과 같이 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16
1412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43
1411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46
1410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6
1409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47
1408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47
1407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47
1406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50
1405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57
1404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1403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60
1402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1401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61
1400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5
1399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65
1398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7
1397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70
1396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74
1395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75
1394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77
1393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84
1392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86
1391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4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