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2 02:58

간지럽히다

조회 수 951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지럽히다

'물속에 발을 담그면 물고기들이 몰려들어 발가락을 간지럽히는 계곡-. 동화 속에나 나옴 직한 그런 인적 드문 골짜기가 아직도 이 땅에 남아 있다.'
'5월의 싱그러운 산들바람이 그들의 얼굴을 간질이며 지나갔다.'
'강아지풀을 뽑아 잠자는 동생의 콧구멍을 간지럼 태우자 동생은 잠결에 코끝을 비벼댔다.'

'간지럼 태우다' '간지럼 먹이다'를 한 단어로 표현할 경우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중 어느 것이 맞을까? '간질이다'가 맞다. '간지럽히다'는 표준어가 아니다.

그런데 형용사 '간지럽다'를 (사)동사로 만들어 '간지럽히다'로 쓰는 것은 정말 잘못일까. '-히-'는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괴롭히다(←괴롭다), 붉히다(←붉다), 어지럽히다(←어지럽다) 등이 그 예다. '간지럽히다'는 이들과 같은 형태다. 맞춤법에서 '간지럽히다'를 비표준어로 규정해 버리면 그만이다. 그러나 다들 잘 알고 있다시피 언어는 스스로 생성하고 소멸한다. 실제 언어생활에서도 '간질이다'보다 '간지럽히다'가 훨씬 많이 쓰인다. 사람들이 쓰지 않으면 그 말은 사어(死語)가 된다. '덥다'의 사동사 '덥히다'가 많이 사용돼 새로 표준말이 된 것처럼 '간지럽히다'에도 생명을 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현실에서도 많이 쓰이며, 우리말 만들기 규칙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간질이다, 간지럽히다, 간지럼 태우다 등 우리말 표현의 다양성을 위해서도 '간지럽히다'를 복수표준어로 허용해 주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2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07
1258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19
1257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34
1256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273
1255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52
1254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38
1253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46
1252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80
1251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6
1250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64
1249 안갚음 風磬 2007.01.19 8949
1248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403
1247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807
124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407
1245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22
1244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381
1243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69
1242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885
1241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32
1240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91
1239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17
1238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377
1237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