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2 02:58

간지럽히다

조회 수 951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지럽히다

'물속에 발을 담그면 물고기들이 몰려들어 발가락을 간지럽히는 계곡-. 동화 속에나 나옴 직한 그런 인적 드문 골짜기가 아직도 이 땅에 남아 있다.'
'5월의 싱그러운 산들바람이 그들의 얼굴을 간질이며 지나갔다.'
'강아지풀을 뽑아 잠자는 동생의 콧구멍을 간지럼 태우자 동생은 잠결에 코끝을 비벼댔다.'

'간지럼 태우다' '간지럼 먹이다'를 한 단어로 표현할 경우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중 어느 것이 맞을까? '간질이다'가 맞다. '간지럽히다'는 표준어가 아니다.

그런데 형용사 '간지럽다'를 (사)동사로 만들어 '간지럽히다'로 쓰는 것은 정말 잘못일까. '-히-'는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괴롭히다(←괴롭다), 붉히다(←붉다), 어지럽히다(←어지럽다) 등이 그 예다. '간지럽히다'는 이들과 같은 형태다. 맞춤법에서 '간지럽히다'를 비표준어로 규정해 버리면 그만이다. 그러나 다들 잘 알고 있다시피 언어는 스스로 생성하고 소멸한다. 실제 언어생활에서도 '간질이다'보다 '간지럽히다'가 훨씬 많이 쓰인다. 사람들이 쓰지 않으면 그 말은 사어(死語)가 된다. '덥다'의 사동사 '덥히다'가 많이 사용돼 새로 표준말이 된 것처럼 '간지럽히다'에도 생명을 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현실에서도 많이 쓰이며, 우리말 만들기 규칙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간질이다, 간지럽히다, 간지럼 태우다 등 우리말 표현의 다양성을 위해서도 '간지럽히다'를 복수표준어로 허용해 주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21
1258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862
1257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866
1256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69
1255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871
1254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1253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75
125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8
125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82
1250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82
1249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83
1248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884
1247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86
1246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888
1245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89
1244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97
1243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97
1242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97
1241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8
1240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901
1239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2
1238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1237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