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0 00:26

장진, 장전

조회 수 1090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진, 장전

남자들이 모이기만 하면 하는 얘기 중 첫째가 군대 시절에 관한 것이고, 그 다음은 축구라서 여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게 군대에서 축구하던 얘기라는 우스개가 유행한 적이 있다. 이렇듯 남자들에게 군대 시절은 영원한 화제의 샘이다. 분데스리가와 쌍벽을 이루는 '군대스리가' 못지않게 할 얘기가 많은 것이 사격훈련인데 피가 나고 알이 배고 이가 갈리는 피알아이(사격술 예비 훈련)를 거쳐 사대에 서면 '탄알 일발 장진.' '준비된 사수부터 사격 개시!' 이런 명령을 듣게 된다. 힘든 훈련 중 잠깐 쉬는 시간. 그때의 구호도 '담배 일발 장진'이다. 휴식이 조금 길 땐 갓 입대한 사병을 일으켜 노래를 일발 '장진'시키고 나머지 대원들이 '발사' 구호를 소리 높여 외치기도 한다. 우리는 이렇게 '장진'이라는 말을 많이 써왔다.

그러나 사실 '장진'은 이 상황엔 맞지 않는 단어다. 이때는 '장전(裝塡)'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이때의 전(塡)은 '메운다'는 뜻이고, 따라서 '장전'이라면 탄알을 약실에 '재어 넣는다'는 의미가 된다. 추측건대 장진이라고 쓰는 것은 전(塡)을 '진'으로 잘못 읽었거나 노리쇠의 후퇴 전진에서 나아갈 진(進)이 연상되기 때문은 아닐까.

최근 개인의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한 사람에게 무죄 판결이 내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군대스리가' '일발 장진'의 험로를 거쳐온 사람들은 형평에 문제가 있다고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의 신념과 국가 안보, 형평을 조화시키는 솔로몬의 지혜가 도출됐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20
1258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082
1257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11
1256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32
1255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701
1254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891
1253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14
1252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30
1251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1250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27
1249 안갚음 風磬 2007.01.19 8821
1248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81
1247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740
124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28
1245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094
1244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052
1243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01
1242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730
1241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17
1240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71
1239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086
1238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266
1237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