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0 00:26

장진, 장전

조회 수 1092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진, 장전

남자들이 모이기만 하면 하는 얘기 중 첫째가 군대 시절에 관한 것이고, 그 다음은 축구라서 여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게 군대에서 축구하던 얘기라는 우스개가 유행한 적이 있다. 이렇듯 남자들에게 군대 시절은 영원한 화제의 샘이다. 분데스리가와 쌍벽을 이루는 '군대스리가' 못지않게 할 얘기가 많은 것이 사격훈련인데 피가 나고 알이 배고 이가 갈리는 피알아이(사격술 예비 훈련)를 거쳐 사대에 서면 '탄알 일발 장진.' '준비된 사수부터 사격 개시!' 이런 명령을 듣게 된다. 힘든 훈련 중 잠깐 쉬는 시간. 그때의 구호도 '담배 일발 장진'이다. 휴식이 조금 길 땐 갓 입대한 사병을 일으켜 노래를 일발 '장진'시키고 나머지 대원들이 '발사' 구호를 소리 높여 외치기도 한다. 우리는 이렇게 '장진'이라는 말을 많이 써왔다.

그러나 사실 '장진'은 이 상황엔 맞지 않는 단어다. 이때는 '장전(裝塡)'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이때의 전(塡)은 '메운다'는 뜻이고, 따라서 '장전'이라면 탄알을 약실에 '재어 넣는다'는 의미가 된다. 추측건대 장진이라고 쓰는 것은 전(塡)을 '진'으로 잘못 읽었거나 노리쇠의 후퇴 전진에서 나아갈 진(進)이 연상되기 때문은 아닐까.

최근 개인의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한 사람에게 무죄 판결이 내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군대스리가' '일발 장진'의 험로를 거쳐온 사람들은 형평에 문제가 있다고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의 신념과 국가 안보, 형평을 조화시키는 솔로몬의 지혜가 도출됐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86
1258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871
1257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872
1256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73
1255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873
1254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74
1253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8
1252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81
125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86
1250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88
1249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88
1248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89
1247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91
1246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98
1245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8
1244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900
1243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901
1242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902
1241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2
1240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902
1239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910
1238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911
1237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9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