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0 00:23

안하다, 못하다

조회 수 1778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하다, 못하다

어떤 내용을 부정할 때 흔히 부정부사 '안(아니)'과 '못'을 사용해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안'과 '못'이 부정문을 만드는 데 있어 둘을 구분하지 않고 서술하다 보면 자칫 이해 당사자에게 엉뚱한 결과가 빚어진다는 점에서 주의해 표현해야 합니다.

①'미국은 이라크전을 안 치렀다(치르지 아니했다).'
②'미국은 이라크전을 못 치렀다(치르지 못했다).'

이들 예문 중 ①의 '안' 부정문은 행위자의 '의지'가 작용해 어떤 동작이 일어나지 않았거나(안 벌고, 안 쓰다), 상태가 그렇지 않음(안 춥다, 안 아프다)을 나타내는 부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을 부정하는 '의지 부정'의 경우 행위 주체가 도덕적 가치 판단의 기준과 책임 소재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안'의 사용에 신중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②의 '못' 부정문은 '초등학교도 마치지 못했다''아침밥을 못 먹었다''잠을 통 못 잤다'처럼 쓰여 행위자의 의지와는 다르게 '능력'이나 외적인 다른 이유 때문에 어떤 행동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부정부사 '못'을 사용함으로써 글 내용이 동정심과 이해를 바란다는 느낌을 줍니다.

참고로 '못'과 '안'의 띄어쓰기를 보면 뒤에 '하다'가 올 때 '못'은 하나의 단어이므로 붙여 쓰고(못하다), '안'도 '-지 아니하다'의 형태로 보조용언일 때는 한 단어로 붙여 쓰지만 그 외의 동사 앞에서는 '안 먹다, 못 먹다, 안 울다' 등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20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4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31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64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09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16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12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73
»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82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62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5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94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70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9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623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89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26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8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65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78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5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