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7 00:11

알은척 / 아는 척

조회 수 1086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알은척 / 아는 척

사람을 보면 관심을 갖고 서로 인사하며 지내자는 뜻으로 흔히 '아는 척(=체) 좀 해라'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이 말은 잘못된 표현이다. 이때에는 '알은척(=알은체) 좀 해라'로 말해야 옳다. 그런데 일상생활에서는 이러한 의미로 '알은척하다'보다 '아는 척하다'가 더 널리 쓰인다. '알은척하다'와 '아는 척하다'는 서로 의미가 다른 말이다.

'알은척하다'는 '얼굴이 익은 사람 하나가 알은척하며 말을 걸어왔다' '다음에 만나면 알은척하지 않겠다'처럼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는 듯한 태도를 보이거나 사람을 보고 인사하는 표정을 지을 때 쓴다. 반면 '아는 척하다'는 '알지도 못하면서 왜 아는 척하니?' '모르면서 아는 척하다가 망신만 당했다'와 같이 알지 못하면서 알고 있는 듯한 것처럼 꾸민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아는 척 좀 해라'라고 말을 하면 '잘난 척 좀 해라'라는 전혀 다른 뜻이 되고 만다.

한 가지 더 기억해 둘 것은 '알은척(알은체)하다'는 한 단어이고, '아는 척(체)하다'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알은척하다'는 '알은척'이라는 명사에 '-하다'가 붙어서 된 동사다. 보통의 경우 '알다'에 관형형 어미 '은'이 결합하면 '안'이 되는 것과 달리 '알은'으로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알은척(알은체)하다'가 한 단어로 굳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알은 척하다'처럼 띄어 쓰지 않는다. 이제부터라도 사람을 만나면 '알은척하는' 습관을 기르고, '아는 척하는' 태도는 버리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08
1412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97
1411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89
1410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48
1409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96
1408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713
1407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83
1406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14
1405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45
1404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609
1403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25
1402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898
1401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18
1400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71
1399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1398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79
1397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1396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3
139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73
1394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22
1393 장진, 장전 바람의종 2009.02.10 10918
1392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6942
1391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