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7 00:07

재(齋)/제(祭)

조회 수 1095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齋)/제(祭)

1980년 5월 군홧발에 짓밟힌 광주의 실상을 세계에 알린 독일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의 국립5ㆍ18묘지 안장이 검토되고 있다. 그는 "필름의 마지막 1cm까지 버리지 않고 사용해야 한다고 다짐했다"는 말로 당시의 치열함을 회상하기도 했다. 5월 18일엔 민주항쟁을 기리는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불교계에선 해마다 '천도재'를 올린다. '천도재(薦度齋)'란 죽은 이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치르는 불교 의식이다.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사십구재(四十九齋)'도 사람이 죽은 지 49일 되는 날에 지내는 천도재의 하나다. 그러나 이들 단어를 제사와 연관지어 천도제ㆍ사십구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꽤 있다.

"조계종은 부처님 오신 날인 26일까지 전국 사찰에서 희생자를 위한 천도제를 올리도록 했다" "어머니의 사십구제엔 카네이션 한 다발을 안고 가야겠다" 등은 잘못 쓰인 예다.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 명복을 비는 불공을 뜻할 때는 '재(齋)'라고 써야 한다. 맡은 일엔 정성을 들이지 않으면서 잇속에만 마음을 둘 때 "염불보다 잿밥에만 관심 있다"라고 표현한다. 이를 무심코 '젯밥'이라고 쓰는 경우도 종종 본다. 그러나 잿밥은 불공할 때 부처 앞에 놓는 밥으로, 제사를 지내기 위해 차려놓는 젯밥과 다르다. 젯밥으로 쓰고 싶다면 "제사보다 젯밥에만 관심 있다"라고 해야 한다.

즉 불교에서 행하는 의식으로 쓸 때는 재(영산재ㆍ백일재), 죽은 사람의 넋이나 신령에게 음식을 바쳐 정성을 나타내는 의식인 제사(祭祀)의 의미일 때는 제(위령제ㆍ추모제ㆍ사직대제ㆍ석전대제)로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63
2072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0
2071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바람의종 2008.12.28 11036
2070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75
2069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44
2068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88
2067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113
2066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599
2065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09
2064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592
2063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491
2062 담배를 피다 바람의종 2009.02.03 11193
2061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51
2060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3
2059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392
2058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53
2057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56
2056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20
2055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191
2054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475
2053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296
205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13
» 재(齋)/제(祭) 바람의종 2009.02.07 109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