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7 00:07

재(齋)/제(祭)

조회 수 1097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齋)/제(祭)

1980년 5월 군홧발에 짓밟힌 광주의 실상을 세계에 알린 독일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의 국립5ㆍ18묘지 안장이 검토되고 있다. 그는 "필름의 마지막 1cm까지 버리지 않고 사용해야 한다고 다짐했다"는 말로 당시의 치열함을 회상하기도 했다. 5월 18일엔 민주항쟁을 기리는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불교계에선 해마다 '천도재'를 올린다. '천도재(薦度齋)'란 죽은 이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치르는 불교 의식이다.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사십구재(四十九齋)'도 사람이 죽은 지 49일 되는 날에 지내는 천도재의 하나다. 그러나 이들 단어를 제사와 연관지어 천도제ㆍ사십구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꽤 있다.

"조계종은 부처님 오신 날인 26일까지 전국 사찰에서 희생자를 위한 천도제를 올리도록 했다" "어머니의 사십구제엔 카네이션 한 다발을 안고 가야겠다" 등은 잘못 쓰인 예다.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 명복을 비는 불공을 뜻할 때는 '재(齋)'라고 써야 한다. 맡은 일엔 정성을 들이지 않으면서 잇속에만 마음을 둘 때 "염불보다 잿밥에만 관심 있다"라고 표현한다. 이를 무심코 '젯밥'이라고 쓰는 경우도 종종 본다. 그러나 잿밥은 불공할 때 부처 앞에 놓는 밥으로, 제사를 지내기 위해 차려놓는 젯밥과 다르다. 젯밥으로 쓰고 싶다면 "제사보다 젯밥에만 관심 있다"라고 해야 한다.

즉 불교에서 행하는 의식으로 쓸 때는 재(영산재ㆍ백일재), 죽은 사람의 넋이나 신령에게 음식을 바쳐 정성을 나타내는 의식인 제사(祭祀)의 의미일 때는 제(위령제ㆍ추모제ㆍ사직대제ㆍ석전대제)로 쓴다.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36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88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10/03/24 by 바람의종
    Views 16317 

    쟁이와 장이

  5.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10/07/09 by 바람의종
    Views 14855 

    쟁이, 장이

  6.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10/07/25 by 바람의종
    Views 11231 

    잿밥과 젯밥

  7.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029 

    재판받는 한글

  8.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09/05/30 by 바람의종
    Views 10000 

    재원(才媛), 향년

  9. No Image 15Aug
    by 바람의종
    2007/08/15 by 바람의종
    Views 7792 

    재야

  10.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10/05/30 by 바람의종
    Views 8688 

    재미

  11.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0/06/20 by 바람의종
    Views 11655 

    재료, 원료

  12. No Image 25Apr
    by 바람의종
    2010/04/25 by 바람의종
    Views 16682 

    재다, 메우다, 메기다

  13.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09/11/03 by 바람의종
    Views 7900 

    재기 옵소예!

  14. No Image 25Feb
    by 바람의종
    2008/02/25 by 바람의종
    Views 7239 

    재개비

  15. No Image 07Feb
    by 바람의종
    2009/02/07 by 바람의종
    Views 10978 

    재(齋)/제(祭)

  16. No Image 10Feb
    by 바람의종
    2009/02/10 by 바람의종
    Views 10918 

    장진, 장전

  17. No Image 07May
    by 바람의종
    2010/05/07 by 바람의종
    Views 11260 

    장애의 올바른 용어

  18. No Image 03Aug
    by 바람의종
    2009/08/03 by 바람의종
    Views 9445 

    장애, 장해

  19. No Image 15Aug
    by 바람의종
    2007/08/15 by 바람의종
    Views 9316 

    장안

  20. No Image 28Feb
    by 바람의종
    2010/02/28 by 바람의종
    Views 9761 

    장수와 장사

  21.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10227 

    장사진을 치다

  22.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8/06/11 by 바람의종
    Views 9970 

    장사 잘돼?

  23.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07/08/14 by 바람의종
    Views 8657 

    장본인

  24.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8762 

    장보고·논복

  25.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9/02/22 by 바람의종
    Views 13210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