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5 20:06

단음절 띄어쓰기

조회 수 847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음절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에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망(網), 면(面), 상(像), 염(鹽), 축(軸)' 등은 단음절로 되었지만 하나의 단어다. 그러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당연히 띄어 쓴다. 그러나 이들은 앞에 다른 명사가 오면 항상 앞 단어에 붙여 쓴다(교통망, 연락망, 판매망, 통신망/ 경계면, 마찰면, 비탈면, 절단면/ 교사상, 어머니상[모범이나 본보기]/ 무기염, 용해염/ 수직축, 수평축, 좌표축, 피동축 등).

그런데 앞에 다른 명사가 와도 예외적으로 띄어 쓸 때가 있어 사람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런 예외적인 경우를 살펴보기로 하자.

▶망(網):'그물처럼 만들어 가려 두거나 치거나 하는 물건'을 통틀어 이를 때(삼중 망, 철사 망 등)
▶면(面):'어떤 측면이나 방면'의 의미일 때(분배 면, 외모 면 등)
▶상(像):'사람이나 물건의 형체를 본뜬 입체적 조형물이나 그림'일 때(마리아 상, 부처님 상 등)
▶염(鹽):'-화(化)'형태 뒤(이온화 염)
▶축(軸): 앞 단어가 '축'을 수식하는 단순한 관형어일 경우(상하 축, 기본 축)

이 밖에 '선(線)'의 경우도 '배열선, 절개선/ 양성자선, 중성자선' 등으로 항상 앞 단어에 붙여 쓴다. 하지만 앞 단어가 고유어인 경우(목 선, 얼굴 선/ 수공 전문어인 시접선, 옆선 등은 제외)와 관형어의 성격(황색 선, 청색 선)을 갖거나 재료의 의미(금속 선, 텅스텐 선/ 니크롬선은 제외)일 때는 띄어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98
1280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25
1279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26
1278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28
1277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29
1276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29
1275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32
1274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32
1273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33
1272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35
1271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36
127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37
1269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38
1268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39
1267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39
1266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43
1265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46
1264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49
1263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50
1262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53
1261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754
1260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54
1259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