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5 20:06

단음절 띄어쓰기

조회 수 849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음절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에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망(網), 면(面), 상(像), 염(鹽), 축(軸)' 등은 단음절로 되었지만 하나의 단어다. 그러므로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당연히 띄어 쓴다. 그러나 이들은 앞에 다른 명사가 오면 항상 앞 단어에 붙여 쓴다(교통망, 연락망, 판매망, 통신망/ 경계면, 마찰면, 비탈면, 절단면/ 교사상, 어머니상[모범이나 본보기]/ 무기염, 용해염/ 수직축, 수평축, 좌표축, 피동축 등).

그런데 앞에 다른 명사가 와도 예외적으로 띄어 쓸 때가 있어 사람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런 예외적인 경우를 살펴보기로 하자.

▶망(網):'그물처럼 만들어 가려 두거나 치거나 하는 물건'을 통틀어 이를 때(삼중 망, 철사 망 등)
▶면(面):'어떤 측면이나 방면'의 의미일 때(분배 면, 외모 면 등)
▶상(像):'사람이나 물건의 형체를 본뜬 입체적 조형물이나 그림'일 때(마리아 상, 부처님 상 등)
▶염(鹽):'-화(化)'형태 뒤(이온화 염)
▶축(軸): 앞 단어가 '축'을 수식하는 단순한 관형어일 경우(상하 축, 기본 축)

이 밖에 '선(線)'의 경우도 '배열선, 절개선/ 양성자선, 중성자선' 등으로 항상 앞 단어에 붙여 쓴다. 하지만 앞 단어가 고유어인 경우(목 선, 얼굴 선/ 수공 전문어인 시접선, 옆선 등은 제외)와 관형어의 성격(황색 선, 청색 선)을 갖거나 재료의 의미(금속 선, 텅스텐 선/ 니크롬선은 제외)일 때는 띄어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18
1390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08
138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2
1388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75
1387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19
1386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28
1385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42
1384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08
1383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41
1382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77
1381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88
1380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57
1379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97
1378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6
1377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72
137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75
1375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32
1374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8
1373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1372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175
1371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56
137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115
1369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